dsoh 취미/이론

sink rate,glide rate

air fly 500 2008. 1. 11. 11:18
sink rate이란?-------하강비율
즉 하늘에서 글라이더가 얼마나 천천히 내려가느냐를 측정한 것입니다.
glide ratio란?
같은 조건하에(기상이) 일정한 높이에서 글라이더가 얼마나 멀리 갈수 있느냐를 나타냄니다.
예를 들어 glide ratio가 1:6이라면 이 뜻은 1미터 높이에서 이륙했을때 6미터를 갈수 있다는 것 이지요.
이 두가지는 얼핏 같은 것 처럼 생각되나 전혀 다른 것 입니다.
만약 우리가 아주 큰 낙하산을 타고 내려간다면 아주 천천히 내려갈수도 있겠지만, 앞으로 멀리 나가지는 못 하겠지요? 낙하산이 글라이드하는 각도는 거의 0도 이지만 sink rate은 매우 낮을 것 입니다.
마찬가지로 잿트기가 날아가다가 엔진을 끈다면 왠만큼은 좋은 glide ratio로 날수 있지만......즉 멀리 갈수는 있겠지만 500FPM(feet per minute---분당 500피트씩 떨어진단 얘기임)의 sink rate 으론 1000피트를 단 2분만에 떨어질것 입니다.

글라이더의 sink rate과 glide ratio는 나의 비행 속도와 많은 관계가 있읍니다.
글라이더가 가장 천천히 내려가는 속도를 minimum sink speed라 합니다.
그리고 가장 멀리 갈수 있는 속도를 maximum glide speed라 합니다.

전제: 기상이 일정할 때

여러분이 비행할때 보통은 양손을 어깨까지 견제하고 타지요?..........이것은 바로 가장 멀리 갈수 있는 속도 즉 maximum glide speed로 비행하는 것 입니다.
만약 하늘에 오래 있기만을 원한다면 minimum sink speed로 비행해야 할 것 입니다.........이것은 양손 견제를 최대한 많이 주어서 (보통은 실속 속도 보다 몇 키로 위) 속도를 최대한 줄여주어야 할 것 입니다. 그러면 앞으로 나가지는 않겠지만, 체공 시간은 조금 늘일수 있을 것 입니다.
써멀이나 상승 기류를 만났을때, 보통은 minimum sink로 속도를 줄이고 360도 턴을 하여 원을 그리며 그 안에서 오래 체류하는것을 써멸을 잡는다...라 합니다

따라서 낮은 sink rate의 글라이더라가 높은 sink rate의 글라이더보다 약한 써멀에도 잘 상승 할수 있지요.
만약 minimun sink rate이 200FPM의 글라이더라면 적어도 써멀이 200FPM 이상 되야 상승할 수 있을 것 입니다.
만약 써멀이 210FPM으로 올라 온다면 이 글라이더는 분당 약 10feet 정도씩 상승할 수 있을 것 입니다.

'dsoh 취미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all의 회복방법  (0) 2008.01.11
호버링(hovering)  (0) 2008.01.11
core  (0) 2008.01.11
비행성능 향상을위한 우선순위  (0) 2008.01.11
페러글라이더 용어집  (0) 2008.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