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oh 취미/이론

윙오버의 함정

air fly 500 2006. 11. 14. 14:12

윙오버..  대부분의 일반 파일럿들은 작은 각의 윙오버를 쉽게 구사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파일럿 자신의 기분이나 뜻하지 않은 거친 열기류, 바람 또는 돌발적인 장애물 등으

로인하여 평소 자신의 안전반경을 넘어서거나 무게중심이 변하면서 순간적인 위험상황으로

돌입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흔히 어떤 경우에 위험해 질 수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해선 먼저

윙오버의 개요를 좀 더 정확히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겠습니다.

 

본래의 윙오버란 파일럿의 몸이 날개의 끝을 벗어날 정도까지 높은 각으로 치솟아 오르도록

좌우 대칭적인 연속 진자운동을 하는 기동입니다.

매우 다이나믹한 기동으로써 타이밍이 정확한 방향전환과 체중이동 및 브레이크의 양이 어우

러져 보다 정교한 대칭적 회전이 이뤄질 수 있습니다.

즉, 좌측을 당기며 운동을 시작하면 다시 반대편으로의 적절한 체중이동과 함께 좀 더 강하게

오른쪽을 당기어 회전각을 부여합니다. 서서히 강하고 깊은 진자운동으로 돌입이 시작되면

중심점을 지날 싯점부터 또는 그 이전부터 반대방향으로 깊숙히 체중을 이동함으로써 브레이

크와의 조화를 이뤄 나갈 수 있습니다. 회전하는 안쪽은 깊게 그리고 바깥쪽 브레이크는 얕게

당기면서 캐노피의 형태와 양력을 부드럽게 유지하면 정교한 윙오버가 시작됩니다. 

 

 

(위 사진은 윙오버를 진행 중인 장면입니다. 좀 과장돼 뵈지만(^^) 저 때가 바로 반대쪽 회전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깊이 체중이동을 시작하는 절묘한 타이밍이죠. 자~ 굿럭!!)   

 

그러나 정확한 방향전환과 체중이동의 타이밍에 덜 익숙한 일부 파일럿들이 얕은 윙오버를

할 때처럼 오직 브레이크에 의존하여 너무 깊은 진자운동에 진입할 경우 바로 다음 순간 뜻

밖의 위험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진자운동을 시작한 파일럿의 체중은 캐노피의 한쪽에 깊이 실리게 되는데 정점으

로부터 다시 낙하를 시작할 때까지 그대로 방치되거나 정확한 방향전환과 브레이크의 조작이

이뤄지지 못할 경우 상대적으로 양력이 부족한 바깥쪽 캐노피가 붕괴되며 위험한 상황을 초

래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피하는 방법은 물론 자신이 소화할 수 없는 무리한 기동을 구사하지 않는 것이

겠지만.. 가장 좋은 방법은 평소부터 철저한 안전규칙에 따라 훈련하는 것입니다. 

모든 파일럿들은 자신의 실수이든 자연적 불가항력이든 위험의 정도에 따른 적극적인 대처요

령을 반드시 사전에 체득해 둘 필요와 의무가 있습니다.

누구에게나 사고란 갑자기 찾아오는 불청객과 같으므로..!

(계속..)


'dsoh 취미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 비행의 순수 예술  (0) 2007.09.13
Thermal Flying(출처 : Cross Country)  (0) 2007.09.13
기후 변화  (0) 2006.10.30
계절 변화  (0) 2006.10.30
온도 변화  (0) 2006.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