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oh 취미/이론

기후 변화

air fly 500 2006. 10. 30. 01:22

1. 기후:
어느 지역에서 장기간(보통 30년)간에 걸쳐 나타나는 일기요소의 평균값을 기후라고 말한다.
ㄱ. 기후요소: 기온, 강수량, 바람, 일사량, 습도, 운량, 일조시간, 증발량등
ㄴ. 기후인자: 위도, 해륙분포, 해발고도, 지형, 해류등으로 기후요소를 변화시키는 요인을 말한다

2. 기후의 변화란:
▶ 기후변화란 현재의 기후계가 자연적 또는 인위적으로 점차 변화하는 것을 말한다.
▶ 자연적으로는 대기, 해양, 육지, 설빙, 생물권 자신의 내적요인과 화산분화에 의한 성층권의 에어졸로 증가, 태양활동의 변화, 태양과 지구 천문학적 상대위치 관계등의 외적요인이 있다.
▶ 인위적요인으로는 화석연료 과다사용에 따른 이산화탄소등 대기 조성의 변화, 토지 피복의 변화, 삼림 파괴등이 있다.
▶ 1980년 이후 지구 온난화 (global warming)효과, 여러가지 기상 현상이변의 츌현 등 과거와 다른 기후변화를 격고 있고, 최근에는 엘리뇨, 라니냐의 강도강화, 과거의 관측 최고치를 갱신하는 이상 기상 출현 등이 두드러짐에 따라 인류의 생명이 위협 받고 있다.

3. 기후변화의 영향:
▶ 인간의 건강, 자연 생태계 그리고 사회경제계 모두는 기후변화율과 기후변화크기 모두에 민감하다.
▶ 많은 물리계와 생태계는 동시에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는다.
▶ 대기 중 온실가스의 현저한 증가와 더불어 지구의 평균온도와 해수면이 상승될 것으로 예상되고, 이러한 기후변화는 기사이변, 강수량변화, 해수면 상승등을 초래하여 식량공급, 수자원공급, 인간의 건강등 생태계와 사회경제적 분야에 돌이킬 수 없는 영향을 미칠 것이다.

 

 

* 내적 요인:

1. 대기:
대기 투명도의 변화라고도 하며 화산재, 먼지 등이 대기 중에 많이 포함되어 있으면 태양 빛을 차단하는 효과를 하므로 지구의 기온은 점점 한랭해 지며 그와 반대로 이산화탄소, 메탄, 수증기 등이 증가하게 되면 온실효과 때문에 지구의 온도는 상승한다.
2. 해양, 바다얼음, 육지얼음:
지구의 기온이 온실효과로 상승하면 육지 얼음(대륙빙하)이 녹아서 바다로 들어가므로 해수면이 높아지고 반대로 대륙 빙하가 증가하면 수면이 낮아지며 이러한 변화는 다시 지구 기후에 영향을 주게된다.
3. 생물체와 생태계의 변화.
4.눈덮힌 정도
5. 물 수지

* 외적인 요인

1.화산 분화에 의한 상층권의 에어로졸 증가

2.태양활동의 변화: 태양의 흑점주기는 11년인데 흑점수가 많을수록 태양활동이 활발하다.

a. 태양의 흑점이동:

▶ 태양의 흑점변화를 봅시다.
[글자를 클릭하시면 태양의 흑점이동을 보실 수 있습니다.]

궤도로 자전과 공전을 하고 있는 듯이 보이지만 천문학자들의 조사에 의하면 지구 자전축은 약 4만년을 주기로 21.75도에서 24.25도 사이로 변하는데 자전축이 기울어질수록 계절의 변화는 더욱 커지고 연교차도 커진다. 또, 지구의 공전 역시 그 궤도가 조금씩 변하는데(공전궤도 이심 율의 변화) 약 85000년을 주기로 원궤도에서 타원궤도로 궤도 이심 율이 변한다 이 이심 율이 클수록 기온의 차이가 커지며 계절의 변화도 커진다.

b. 태양과 지구의 천문학적인 상대적 위치:

지구와 태양은 늘 일정한 궤도로 자전과 공전을 하고 잇는 듯이 보이지만 천문학자들의 조사에 의하면 지구의 자전축은 약 4만년을 주기로 21.75도에서 24.25도 사이로 변하는데 자전축이 기울어질 수록 계절의 변화는 더욱커지고 연교차도 커진다. 또, 지구의 공전역시 그 궤도가 조금씩 변하는데(공전궤도 이심율의 변화) 약 85000년을 주기로 원궤도에서 타원궤도로 궤도 이심율이 변한다. 이 이심율이 클수록 기온의 차이가 커지며 계절의 변화도 커진다.

 

 

1. 사람 활동에 의한 기후변화(삼림파괴, 도시화의 진행)

지구에 입사한 태양복사 에너지중 30%는 구름과 지표면에 반사되거나 공기 중에서 산란(흩어짐)되어 우주공간으로 되돌아가는데 지표면에 입사되는 총복사 에너지량에 대한 지표면에서 반사되는 에너지량의 비율을 알베도(반사율)이라고 한다. 알베도가 변화하는 요인으로는 대규모 댐의 건설, 살림파괴, 사막화, 극지방의 빙하 후퇴등이며 이 결과로 지구의 기후가 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로 인해 도시기후가 나타나게 되는데 도시기후란 근대화에 따라 도시가 발달하면서 도시를 주변지역과는 특유한 기후를 갖게 되고 도시기후가 주변지역과 다르게 나타난다.

* 열섬(heat island): 도시 기온분포에 관한 선구적인 연구로는 1927년에 W.Schmidt가 빈(wein)시의 기온분포를 밝힌 후, 세계 여러 도시에 기온분포가 조사되었다. 그 결과 도시의 등온선은 대체로 동심원상으로 나타나고 도심지는 고온지대가 형성되어 소위 '열섬'현상이 나타난다. 그리고 주변의 교외와의 경제지역, 인구나 건축물의 밀도가 낮은 곳은 열섬에 대해 비교적 저온인 신선한 지대(cool island)가 나타나다.

【복사평형알베도】


2. 온실효과 :

산업발전의 원동력이 되는 석유 석탄등화석연료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co2)에 의한 온실효과로 지구의 온난화가 지속되어 지구의 기후변화와 이상기후현상을 일으키고 있다.

3. 지구 대기의 온실효과 :
대기중의 수증기와 이산화탄소는 태양복사에너지를 통과시키지만 지구복사에너지는 나가지 목하게 차단하여 지구를 따뜻하게 보온하는 역할을 한다.


 

 

 

 

 

 

 

 

 


'dsoh 취미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rmal Flying(출처 : Cross Country)  (0) 2007.09.13
윙오버의 함정  (0) 2006.11.14
계절 변화  (0) 2006.10.30
온도 변화  (0) 2006.10.30
공기의 움직임  (0) 2006.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