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A. 주택건축과정 |
1. 건축기획 및 사전조사 |
| ||||
![]() | |||||
2. 계획설계 |
- 건축계획도서 작성 | ||||
![]() | |||||
3.
기본설계 |
|||||
![]() | |||||
4. 실시설계 |
| ||||
![]() | |||||
5. 건축공사 |
|
||||
![]() | |||||
6.
공사완료 |
| ||||
![]() | |||||
7.
건물사용(입주) |
- 건축물 유지·보수 | ||||
![]() |
B. 계획설계(가설계) 체크리스트 |
1. 건물 배치 |
| ||||
![]() | |||||
2. 실별 요구사항 |
- 각 실별 요구사항은 반영되었는가? | ||||
![]() | |||||
3. 실별 면적 | |||||
![]() | |||||
4. 실별 배치 |
|||||
![]() | |||||
5. 동 선 |
- 각 실별 동선은 원활하며 편안한가? | ||||
![]() | |||||
6. 형
태 |
- 건물의 형태미는 좋은가? (지붕모양,창호모양,발코니모양 등) | ||||
![]() | |||||
7.
마감재 선택 |
- 외부마감재의 선택은 적당한가? | ||||
![]() | |||||
8.
기타 요구사항 반영여부 |
- 특별주문사항은 충분히 반영되었는가? | ||||
![]() | |||||
9. 구
조 |
- 구조방식의 선택은 안정적이며 경제적인 선택인가? | ||||
![]() |
C. 기본설계도서 |
1. 건축계획서 |
| ||||||
![]() | |||||||
2. 배치도 |
| ||||||
![]() | |||||||
3. 입면도 |
| ||||||
![]() | |||||||
4. 평면도 |
|
||||||
![]() | |||||||
5. 단면도 |
|
||||||
![]() | |||||||
![]() |
D. 실시설계 |
1. 배치도,각층 평면/입면/ 단면도/각부 상세도 |
| ||
![]() | |||
2. 구조도(필요시) |
| ||
![]() | |||
3. 설비도(필요시) |
| ||
![]() | |||
4. 실내마감도 |
| ||
![]() | |||
5. 시방서(일방사항/특기사항) |
|
||
![]() | |||
![]() |
![]() |
A. 건축시공과정 |
![]() |
B. 건축 준비 체크리스트 |
1. 견적서 수렴 |
|
![]() | |
2. 시공자 결정 |
- 시공업체는 초기
계획한대로 올바르게 결정되었는가? |
![]() | |
3.
계약서 작성 |
|
![]() | |
4. 착공신고 |
|
![]() | |
5. 특이사항(기존건물철거) |
- 기존 건축물을
철거해야 하는 경우 철거예정일 7일전까지 |
![]() |
C. 토목공사 (토지기반공사) |
|
![]() |
|
![]() |
토목공사에서 주의할 점은 건축물이 도면에 근거하여 적합하게
배치되었는지 여부와 기초의 형태와 |
![]() |
D. 건축공사 |
|
![]() |
![]() |
E. 설비공사 |
|
![]() |
|
![]() |
F. 부대공사 |
|
![]() |
|
![]() |
G. 사용승인검사(준공검사) |
|
![]() |
|
![]() |
입주 후에 건축주는 건축물 관리대장을 발급 받아 등록세영수필확인서
및 통지서, 등기신청서를 |
![]() |
|
![]() |
A. 건축도면관리 |
|
![]() |
B. 주택청소 |
* 실별청소요령 상세보기 |
![]() |
C. 주택수리 |
|
![]() |
D. 주택증.개축 |
|
한옥이야기
1.정의 :
한국의 전통 건축양식으로 지은 집
2.내용
서양식 주택, 즉 양옥에 대비한 말이다.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난방을
위한 온돌과 냉방을 위한 마루가 균형있게 결합된 구조를 갖추고 있는 점이다.
대륙석 기후와 해양성 기후가 공존하는 한반도의 더위와 추위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한국의 독특한 주거 형식이다.
한옥의 형태는 지방에 따라 구조가 다르다.
북부 지방에서는 외부의 냉기를 막고, 내누의 열을 유지하기위한 가장 효율적인 구조로, 방을
두 줄로 배열하는 형태의 겹집구조와 낮은 지분의 한옥이 발달했다.
이에 비하여 남부 지방에서는 바람이 잘 톨하도록 방을 한 줄로 배열하는
홀집 구조와 마루 구조가 발달했다.
또한, 한옥은 상류주택과 민가에 따라서도 구조를 달리한다.
대가족이 함께 어우러져 사는 한국의 전통사회에서 상류 계층의 주택은 신분과
남녀, 장유[長幼]를 구별한 공간 배치구조를 하였다.
즉, 집채를 달리하거나 작은 담장을 세워 주거 공간을 상·중·하로 구획했다.
상[上]의 공간인 안채와 사랑채는 양반들이 사용했고, 대문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행랑채는 하[下]의 공각으로 머슴들이 기거하는
곳이었으며, 중문간 행랑채는 중간 계층인 청지기가 거처하는 중[中]의 공간이었다.
상류주택은 장식적인 면에도 치중하여 주택의 기능면에서뿐만 아니라 예술적인 가치에도 뛰어난 건축물이 많이 남아 있다.
그러나 일반 서민들은 집을 지을 때도 구조에서부터 재료에 이르기까지 장식적인 면보다는 기능적인 면을 더 중시했다.
재료로는 가장 쉽게
구할수 있는 돌과 나무들을 사용했는데, 기둥과 서까래/문/대청바닥 등은 나무를 썼고, 벽은 짚과 흙을 섞은 흙벽으로 만들었으며, 창에는 역시
천연 나무로 만든 한지를 발랐다.
바닥에는 한지를 깐 뒤 콩기름 등을 발라 윤기를 냈고, 방수의 역활도 하게 하였다.
지붕으로는 기와지붕과 초가지붕이 가장 보편적이다.
부유한 집에서는 기와로 지붕을 올렸고, 서민들이 거주하는 민가에서는 대부분 볏짚으로
이은 초가지붕을 얹었다. 초가지붕은 겨울에는 열을 빼앗기지 않고 여름에는 강렬한 태양열을 차단해 주며, 구하기 쉽고 비도 잘 스며들지 않아
지붕의 재료로 가장 널리 사용되었다.
황토주택이야기
내용
오늘날 지표면의 약
10%를 덮고 있는 황토는 반 건조 지역에서 가장 넓게 분포하고 있다.
황토 한 스푼에는 약 2억 마리의 미생물이 살고 있어 다양한
효소들이 순환 작용을 일으키고 있다.
예로부터 황토는 살아 있는 생명체라 하여 엄청난 악성을 가진 무병장수의 흙으로 사용되어 왔다.
황토는 다량의 탄산칼슘[CaCo3]를 가지고 있는데, 이 탄산칼슘에 의해 황토는 쉽게 부서지지 않는 점력을 지니고 있으며 물을 가하면
찰흙으로 변하는 성질이 있다.
황토는 실리카[SIO2],알루미나[Al2O3], 철분, 마그네슘[Mg], 나트륨[Na], 칼리등으로
구성되어있다.
이러한 성분비와 다양한 효소들로 조성된 황토는 동-식물의 성장에 꼭 필요한 원적외선을 다량 방사 하므로 일명 황토를 살아있는 생명체라 일컬으며, 동쪽의 햇살을 가장 많이 받는 동(東)황토를 황토중의 황토로 꼽고 있다.
황토는 표면이 넓은 벌집구조로 수많은 공간이 복층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 스폰지같은 구멍안에는 원적외선이 다량흡수, 저장되어 있는
열을 받으면 발산하여 다른 물체의 분자활동을 자극한다.
즉, 황토는 유수한 세월동안 태양에너지를 흡수하고 규성성광물로서 쉽게 말해
'태양에너지 저장고'라고 할 수 있다.
· 목조주택이야기
특징 및 장점
1.
목조주택은 안전하다.
목재는 단위 중량당 인장강도나 압축강도가 철이나 콘크리트보다 능가한다.
목조주택은 건물전체가 가벼운 하중과
일체화된 구조로 이루어져 자체의 유연성질을 지님으로써 진동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하여 외부로부터 충격을 흡수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이는 미국이나
94년 일본 고베지진에서 경량목조주택이 콘크리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해 발생율이 낮다는 조사결과로 증명되었다.
2.목조주택은 내구성이 뛰어나다.
일반주택의 내구성이 30년 정도인데 비해, 목조주택의 내구성은 70년내외로 충실히 관리할 경우
수백년까지도 유지가 가능하다.
우리사회에서는 600년 이상 된 목조건물을 흔히 볼 수 있으며, 고려중기에 건축되어 현존하는 최고의
목조건물인 부석사 무량수전이 아직도 우아한 자태를 유지하는 것은 이를 증명하는 것이다.
3. 목조주택은 에너지효율이 높다.
목재의 단열성능은 콘크리트의 4배, 벽돌의 6배, 석재의 15배로서 그 자체의 단열 및 보온성이
뛰어난 건축재이다.
목조주택은 자체의 단열성이 우수하고 구조재료 사이의 중공은 단열재로 쉽게 성치되며, 개구부 주변과 부재와 부재의
접합부위는 밀폐성이 뛰어나 높은 에너지 효율성으로 에너지 비용의 절감을 가져온다.
4. 목조주택은 경제적이다.
목조주택은 벽이 얇기 때문에 내부면적을 최대한 넓게 활용할 수 있으며, 규격화된 저렴한 부재가 이용되며,
공사기간도 짧고 연중 언제나 지을 수 있어 경제적이다.
5. 목조주택은 쾌적한 실내를 유지한다.
목재는 자동으로 습도조절능력을 지니고 있다.
목조주택에선 일정하고 최적의 습도를
유지하여 쾌적한 생활공간이 보장된다.
6. 목조주택은 유지관리비가 적게 든다.
목조주택은 3~5년에 한번씩 외부에 도장만 잘해주면 특별한 수리가 필요치 않아 유지관리비가
적게 든다.
보일러, 배관, 전기시설 등의 수명은 일반주택과 동일하다.
7. 목조주택은 보수가 쉽다.
목조주택은 문제가 생겼을 때 쉽게 수리가 가능하다.
각부에 사용되는 자재는 수명기간 내에
해당부분만 해체하고 교체하면 완전하게 원상으로 복구할수 있다.
8. 목조주택은 화재위험성이 특별히 높지 않다.
사람들은 나무가 불에 타는 것을 알기 때문에 불을 피울 때 나무를
사용한다.
그래서 목조주택은 화재에 안전하지 못하다는 막연한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화재의 발생시 안전성 문제는 '구조부가
불에 타느냐 타지 않느냐 하는 문제보다는 사람의 피해를 얼마나 줄일 수 있는가'가 중요하다. 목조주택은 화재발생시 연소도 및 화재 확산도가 낮아
탈출 가능성이 높으며, 목재의 단열성능은 철보다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높은 온도에서 구조성능약화가 철구조보다 늦다.
뉴욕의 911 테러로
철구조건물인 쌍둥이빌딩이 열에 견디지 못하고 무너지는 장면을 목격했을 것이다.
· 통나무주택이야기
설명
자연 그대로의
원목형태를 살려서 최소한의 부분만을 가공하여 하나씩 포개어 쌓아 올리는 형식의 집을 말한다.
통나무집은 축조법의 형태에 따라 4가지로
분류한다.
분류
1. 피스엔피스
이 공법은 비교적 짧은 원목을 이용할 수가있는 장점이었고, 건물각이 많은 설계에 적합하며
가지런하면서 안정감을 주는 건축공법이다.
2 콤비네이션
나무를 이용한 여러형태의 공법을 분배 이용하여 다양한 모양을 표현할 수 가 있고 벽채를 황토나 여러가지 재료로 처리할
수 있으며 아기자기한 멋을 느끼게 할 수 있다.
3. 노치공법
나무와 나무의 교차부분을 서로 반씩 겹치게 하여 물고 물리는 형식을 취한다.
통나무집 형식으로는 가장대표적인
것이며 튼튼하고 지진이나 지반침하에도 잘견디어 내는 공법이다.
육중한 멋을 낼수 있으며 장엄하면서도 아늑한 분위기를 느낄수 있다.
4. 포스트앤빔
하단부분은 노치공법으로 쌓아올리며 중간에서 위까지 기둥을 세워 건물내부에서 시야를 다각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고풍스러우면서 현대적인 감각을 느끼게 할 수 있다.
주로 음식점이나 카페 휴게실등에 많이 이용하는 공법이다.
이집은 45평 이며 지붕과 2층은 징크로 마감하고,
1층은 적삼목 으로 마감할 예정입니다.
창호는 이건 창호로 시공예정이며,보일러는 새로 개발된 열매체 보일러시공 합니다.
1. ZM TITANZINC의 개요
1) ZM TITANZINC는 시공성과 심미적 기능을 동시에
고려하여 만든 아주 특별한 건축 마감재 입니다.
2) ZM TITANZINC는 높은 부식 저항을 지닌 완벽한 특성을 지닌 현대적인 마감재로서
산업지역에서도 80년
이상의 높은 수명을 나타냅니다.
3) ZM TITANZINC는 최고 순도(99.995%)의 아연에 티타늄과 구리가 합금된
최고급 수준의 제품으로
유럽표준규격 EN988의 요구조건을 충족합니다.
4) ZM TITANZINC는 가소성 및 가공성이 높은 마감재 입니다. 따라서 복잡하고 다양한
건축물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5) ZM TITANZINC는 친환경적 건축 마감재로서 재활용이 100% 가능하고, 환경 및 인체에 무해 합니다.
6) ZM TITANZINC는 특수공법에 의해 표면 산화처리(Pre-Aged
Finish)된 자연색으로 다른 마감재(석재, 목재,
타 금속성 마감재 등)와 조화가
용이합니다. 또한, 보는 시각이나 음영 및 빛에 의하여 조금씩 다른 색을 보여주기
때문에 자연스러움이 살아
있습니다.
2. ZM TITANZINC의 특성
1)
성분규격 (Chemical Constitution) ; [%] DIN EN
구리 (Cu)
티타늄 (Ti)
알루미늄 (Al)
아연 (Zn)
Min 0.08
Min 0.06
-
The Rest
Max 1.0
Max 0.2
Max 0.015
The Rest
The zinc-copper-titanium alloy should be produced from zinc Z1
according to EN 1179
containing at least 99.995% of zinc supplemented with
alloy additions.
2) 품질기준 ; EN 988, EN 1179 (유럽표준규격)
3) 물리적 특성 및 기술적 특성
- 비중 ; 7.15 (g/cm³) - 선팽창 계수 ; 0.022
(mm/m°C)
- 녹는점 ; 419 (°C) - 재결정점 ; 300 (°C)
- 내력(Yield Point) ; min 100
(N/mm²)
-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 min 150 (N/mm²)
- 연신율(Ultimate
Elongation) ; min 30 (%)
4) 색상 ; 연회색 / 연청회색
5) 마감 ; 산화 보호층 [Patina] 마감 (Pre-Aged Finish)
- 산화 보호층 [Patina]
; 순수 아연은 자연 상태로 두었을 때 스스로를 보호하는
비철금속 입니다. 대기에 적절히 노출 되었을 때 자연스러운 회색 톤의 보호
층을
형성합니다. 이보호층은 보호층 속의 원 성분이 부식되지 않게 하고 수명을 우수
하게 합니다.
3. ZM TITANZINC의 장점
1)
페인트 할 필요가 없습니다.
2) 공업지역에서도 80년 이상의 수명을 가집니다.
3) 자연적이며 시공 후 유지보수가 필요 없습니다.
4) 쉽게 가공할 수 있고, 어떠한 모양의 건축물에도 시공이 가능합니다.
5) 자연적인 색상으로 다른 마감재와도 조화가 잘 됩니다.
6) 친환경적이며 100% 재활용이 가능합니다.
7) 시공 후 색상의 변화가 적습니다.
※ 다른 금속성 마감재보다 뛰어난 성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 아연도 강판 ; 아연도 강판은 얇은
아연도금층만을 가지고 있어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물과 공기 중의 산화로 생기는 부식에 의하여 몇 년마다 부식된 녹의 제거
와 덧칠을
해야 합니다.
⇒ 알루미늄 시트 ; 알루미늄 시트는 시공 후 몇 년이 지나면 온도에 의한 도장 층의
갈라짐 등으로 인한
유지보수의 어려움이 많습니다.
⇒ 동판 ; 동판은 시공 후 빠른 변색이 이루어져 시공 당시의 느낌이 오래 가지 않습
니다.
또한, 변색으로 인하여 좋지 않은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스테인리스 ; 스테인리스는 대기 중에 쉽게 오염이 되어 주기적인
청소가 필요하며
시공이 어렵고 보수가 힘듭니다.
⇒ 납동판 ; 납동판의 경우 심각한 환경오염 문제로 인하여 사용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습니다.
4. ZM TITANZINC의 제품사양
1) 품명 ; ZM TITANZINC
(Pre-Aged Finish zinc-copper-titanium alloy)
2) 색상 ; 연회색 / 연청회색
3) 원산지 ; POLAND
4) 생산자 ; ZM SILESIA Metallurgical Works, Inc IMPEXMETAL Group.
5) 생산규격
- 시트 생산규격 (Dimensions of Sheet)
두께 (Thickness) | 폭 (Width) | 길이 (Length) | 무게 (Weight of 1m²) |
0.6 mm | 1000 mm | 2000 mm & 3000 mm |
4.3 Kg |
0.7 mm | 5.0 Kg | ||
0.8 mm | 5.8 Kg | ||
1.0 mm | 7.2 Kg |
- 코일 생산규격 (Dimensions of Strips)
두께 (Thickness) | 폭 (Width) | 무게 (Weight of Strips) | 면적 (Area of Strips) |
0.6 mm | 500 mm ~ 1000 mm |
1 ton | 232 m² |
0.7 mm | 200 m² | ||
0.8 mm | 172 m² | ||
1.0 mm | 138 m² |
6) 표준규격 (Standard of Strip)
두께 (Thickness) | 폭 (Width) | 무게 (Weight of Strips) | 주 사용처 |
0.7 mm | 600 mm | 1 ton | 지붕 및 외벽 |
0.8 mm | 500 mm | 1 ton | 외벽 |
7) 내구연한 ; 80년 ~ 120년
5. ZM TITANZINC의 기술적 사항
1) 열팽창과 수축
ZM TITANZINC는 다른 금속과 같이 온도에 따른 팽창과 수축이
있습니다.
(열팽창계수 ; 0.022mm/m°C ⇒ 10m의 패널이 100°C 의 온도차에서 22mm의 길이 차이 발생)
※
타 금속의 열팽창 계수
- 은 (Silver) ; 0.020 mm/m°C
- 동 (Cooper) ; 0.017 mm/m°C
-
철 (Steel) ; 0.012 mm/m°C
- 납 (Lead) ; 0.029 mm/m°C
- 알루미늄 (Aluminium) ;
0.024 mm/m°C
- 니켈 (Nickel) ; 0.013 mm/m°C
- 아연 (Zinc) ; 0.036 mm/m°C
-
청동 (Bronze) ; 0.018 mm/m°C
- 황동 (Brass) ; 0.013 mm/m°C
따라서, ZM TITANZINC의 시공시 열팽창 계수에 의한 변화수치를 충분히 계산하여
고정클립과 슬라이딩 클립을
적절히 배치하여야 합니다.
※ 고정클립
※ 슬라이딩 클립
※ 열팽창과 수축을 고려한 최대 길이
- 지붕 및 벽체 (Covering of roof & Outer
wall) ; 10m
- 물받이 (Hanging gutters) ; 15m
- 처마 및 박공 후레싱 (Roof edge closure
& fringe) ; 6m ~ 8m
※ 지붕 경사도에 따른 고정클립의 위치
2) 바탕과의 접촉
ZM TITANZINC를 지붕에 적용할 경우 작업
시 걸어 다니기 충분한 두께가 아니므로
견고하고, 연속적인 바탕이 필요합니다. 이 때 ZM TITANZINC와 화학적 부식을
유발할
수 있는 자재를 사용하면 안 됩니다.
※ ZM TITANZINC와 직접 접촉 가능자재
ph 5~7 사이의 중성자재 ; 소나무, 포플러나무,
노르웨이 전나무 등
(ph 5~7 사이의 각종 건축용 자재 ; 중성 투습방수지, 중성 이격재 등)
※ ZM TITANZINC와 직접
접촉 불가능자재
ph 5이하의 산성자재, 7이상의 알칼리성자재 ; 적삼목, 미송, 오크 등
(아스팔트 시트 및 아스팔트 펠트 등의
방수재, 산성 화합물이나 염분 성분이 있는 목재,
부식 방지제가 스며든 합판이나 각재 등)
3) 환기 처리
ZM TITANZINC를 지붕에
적용할 경우에 내구성 향상을 위하여 ZM TITANZINC의
밑면에 환기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최고의 방법은
공기 인입구와 공기 배출구를 따로 두어 환기공간을 마련하여 주는
것입니다. 이것이 불가능 할 경우에는 중성소재의 이격재(앵카매트,
이소스터드 등)
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 합니다.
![]() |
![]() |
![]() |
![]() |
이소스터드 |
앵카매트 |
앵카매트의 시공 |
※ 이격재(앵카매트, 이소스터드 등) 사용의 장점
① ZM TITANZINC의
밑면에 환기 층을 형성하여 자연의 산화 보호층이 형성, 유지 되도록
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② 공기층을 형성하여 외부
소음을 흡수하는 기능을 합니다.
③ 지붕의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변형을 방지하고, 미려한 외관을 확보합니다.
④ 내부 습기가 배출될
수 있고, 결로를 방지합니다.
4) 다른 금속과의 사용
ZM TITANZINC를 다른 금속과 사용할 경우 부식을 일으키거나, 상호 작용을
하는
금속과는 서로 접하지 않게 조심해야 합니다. 전기적 성질을 유발할 수 있는 요소
(빗물에 의한 다른 금속의 이온성분, 수분을
함유한 건축자재 등)과 접하게 될 경우
전기 화학적 부식의 위험이 있습니다.
※ 결합 가능한 금속
철(Fe) | 알루미늄(Al) | 납(Pb) | 동(Cu) | 스테인리스(SUS) | 아연도강판 |
- | + | + | - | + | + |
흐르는 물에서 동 이온은 ZM TITANZINC의 표면 부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동과 관련된 제품과 같이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5) 세밀한 부분을 위한 납땜
ZM TITANZINC와 액세서리(물받이, 선홈통 등)의 이음, 또는 정밀한
이음을 할
경우에는 최소한 30%의 금속용 가용성 납이 포함된 안티몬으로 납 용접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최적습성 및 긴 수명을
위해서는 알맞은 정제 용매(염화 아연,
염화암모늄, 로진 등)를 사용 하여야 합니다.
6) 취급, 운송 및 저장
ZM TITANZINC는 항상 깨끗하고 마른상태에서 운송되어야 합니다.
취급 및
저장 시에는 항상 습기와 화학 작용제에 노출되거나 접촉되지 않도록
주의를 해야 합니다. 또한, 저장되는 곳의 온도는 0° 이상을 유지하여야
합니다.
(가공시 10° 이하일 경우는 주위의 온도를 10° 이상으로 유지시켜야 합니다.)
7) 기타
ZM TITANZINC를 지붕에 적용할 경우 효과적인 배수 처리를 위해 지붕의
경사는
3°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 지붕 경사에 따른 경사방향 이음 - 단순이음 ; 경사도 25° (47%)이상 - 이중이음 ; 경사도 10° (18%)이상 - 덧댐이음 ; 경사도 7° (12%)이상 |
|
![]() |
![]() |
![]() |
단순이음 | 이중이음 | 덧댐이음 |
동판, 징크 시공 사진

|
'dsoh group > 집짓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량형 환산표 (0) | 2006.12.12 |
---|---|
통나무 주택 (0) | 2006.09.26 |
조적조주택 (0) | 2006.09.26 |
스틸 하우스 (0) | 2006.09.26 |
콘크리트 주택에 대하여 (0) | 2006.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