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면의 부등 가열 : 태양열에 의하여 지면이 부등 가열 되면 상대적으로 가열된 지역의 공기가 상승하여 주로 소나기가 내린다.
◆ 푄현상 : 공기가 산의 경사면을 타고 상승할 때.

◆ 저기압 중심 : 저기압이 생겨 주변에서 공기가 모여들면 상승 기류가 생긴다.
◆ 한랭 전선 : 찬 공기가 따뜻한 공기를 밀어 올릴 때
◆ 온난 전선 : 따뜻한 공기가 찬 공기 위를 타고 올라갈 때
온대 저기압은 한랭 전선과 온난 전선을 동반하기 때문에 온대 저기압이 통과할 때는 주변에서 많은 날씨의 변화가 있다. 아래 그림에서 A-A' 단면을 보면 강한 상승 기류가 있는 한랭 전선이 왼쪽에 있고, 오난 전선이 오른쪽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래의 카메라를 눌러보면 보다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있다.
온대 저기압과 그 단면도
온대와 한대 지방에서 발생하는 저기압으로 겨울보다는 여름에 주로 발생한다. 주로 한대 전선대에서 찬 기단과 따뜻한 기단이 만나서 형성되며, 저기압의 중심부에서 남동쪽으로 온난 전선을 남서쪽으로 한랭 전선을 수번하며, 편서풍의 영향을 받아 서에 동으로이동한다.
일기도에 있는 온대 저기압
1. 푄 현상의 정의 |
'푄'이란 말은 원래 라틴어의 favonivs에서 유래하는데 '서풍'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 푄 현상은 습윤한 바람이 산맥을 넘을 때 고온건조해지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유럽의 알프스 계곡, 특히 Rhine강 상류, 중앙유럽의 Reussr계곡 및 Aar계곡에서 현저하게 발달한다. 푄은 원래 알프스 산지의 풍하측에 나타나는 고온 건조한 국지풍의 명칭이었으나, 이러한 현상이 세계 도처에서 발견되므로 현재는 일반적으로 산지의 풍하측사면에서 불어 내리는 고온 건조한 바람으로 일컬어지는데, 크게 알프스 지역의 푄과 북미 록키 산지 지역의 치누크(chinook)등이 알려져 있다.
2. 푄 현상의 원리 |
바람의 산지에 걸쳐 상승할 경우(A)에는 단열팽창하면서 기온이 점차 하강하여 건조체열체감(A-B, -1℃/100m)하게 된다. 대기 중의 수증기가 포화상태에 도달(B)하여 응결하면 구름이 생기고 때에 따라서는 비가 오게 되는데, 이 때는 습윤단열체감(B-C, -0.5℃∼-0.6℃/100m)을 하면서 정상에 도달한다. 대기가 정상부에서 바람의지 사면을 따라 하강할 때는, 단열압축(C-D, 1℃/100m)에 의해 기온이 상승하여 고온 건조한 바람(D)이 되는데, 이것을 푄 현상이라고 한다.
푄현상의 원리
3. 우리나라의 푄현상 -- 영서 지방의 높새 바람 |
우리 나라의 푄현상은 북서계절풍이 탁월한 겨울철에는 태백산맥 동사면으로 나타나고, 오호츠크해 기단의 영향을 받는 늦봄부터 초여름까지는 영서지방에 나타나는데, 영서지방에서 푄 현상에 의해 나타나는 고온건조한 바람을 높새 바람이라고 불러왔다. 봄에 높새가 불면 여름과 같은 이상 고온 현상이 나타나고 산불이 나기 쉬우며 초여름에 불면 농작물이 말라 버리기도 한다. 강희맹의 '금양잡록'에서 높새바람을 다음과 같이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조선시대 이전부터 높새바람을 인식하고 있었던 듯하다.
"영동 사람들은 농사철에 동풍이 불기를 바라고 호서·경기·호남 사람들은 동풍을 싫어하고 서풍이 불기를 바란다. 이러한 까닭은 그 바람이 산을 넘어 불어오기 때문이다. 그래서, 동쪽이 산에 막혀있는 경기 지방에서는 동풍에 의한 피해가 매우 커서 심할 때는 물고랑이 마르고 식물이 타 버린다. 피해가 적을 때도 벼잎과 이삭이 너무 빨리 마르기 때문에 벼 이삭이 싹트자마자 오그라들어 자라지 않는다." <강희맹의 금양잡록 중에서> |
흔히, 북서풍을 뜻하는 순우리말로 인식되어져온 높새바람은 사실 그 뚜렷한 어원에 대한 정설이 없으며, 홍천 등, 영서지방의 토착주민들 조차 높새란 말에 생소함을 갖고 있는 등, 높새에 대한 정확한 어원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바람의 옛이름. 높새바람은 북쪽에서 부는 높바람과 동쪽에서 부는 샛바람의 중간 바람이라는 뜻에서 높새바람이라 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푄현상의 일종인 영서지방의 높새바람의 출연시기는 대체로 3월 21일부터 8월 10일까지의 기간에 연평균 28회 나타난다. 이중 특히 한반도가 오호츠크해기단의 영향하에 있거나, 고기압의 중심이 동해, 또는 한반도 북부에 위치하고 있을 때 현저하다. 푄현상의 특성인 이상고온 건조 현상으로 기준으로 볼 때, 영서와 영동지방 양사면의 일최고 기온차는 대체로 5.0∼7.5℃로 나타나지만 14.5℃에 달하는 경우도 있다.
푄현상(높새 바람). 영동 지방을 넘는 습윤한 동풍이 태백산맥을 넘으면서 수분을 상실하고, 영서 지방으로 내려갈 때는 고온건조한 바람이 되어 가뭄의 피해를 주게 된다. 반대로 서에서 동으로 서풍이 불 때도 마찬가지로 푄 현상이 나타난다. 겨울에 동해안이 서해안 보다 기온이 높은 이유 중의 하나가 차가운 북서계절풍이 태백산맥을 넘으면서 푄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황재기외 5명, 지리부도, 교학사, p.8.)
최소상대습도의 강도는 50%를 넘는 경우도 있으나 30%이하가 2/3에 달한다. 높새바람이 부는 시기는 작물의 발아와 모내기에 많은 물을 필요로 하는 때이므로 가뭄 피해를 입는 경우가 많다. 특히 높새바람은 6월에 가장 강하나, 주민들은 밭작물의 파종과 이앙기인 봄철에 더욱 심각하게 인식한다. 영서지방의 푄 현상인 높새바람은 9일간 게속되기도 하였으나 55%이상이 1일 안에 소멸된다
4. 푄 현상과 높새바람 연구의 의의 |
지형적인 요인에 의해 단열 변화를 겪은 대기가 고온건조해지는 푄 현상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유럽과 미국 등지를 포함 세계 여러지역에서 관측되고 있다. 푄 현상은 비록 국지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기는 하지만, 대기의 변화와 지형과의 관계 등을 모식적으로 잘 나타내주는 현상이므로 19세기 후반부터 연구가 거듭되오고 있다.
우리나라 영서지방의 높새바람 역시 푄 현상의 일종으로, 비록 주로 봄철에 관련 주민들의 농업에는 가뭄피해를 주기도 하지만, 영서·영동 양사면 대기온도의 변화를 비교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주고 있다. 그러나 높새바람은 실제로 영서지방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고 거의 전국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는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
기후는 우리 인간생활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인간의 생활은 단 한순간도 기후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 즉, 기후가 우리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고, 범위 또한 매우 방대하다. 반면, 인간의 생활 또한, 기후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으며, 극단적으로는 기후의 자연적 변화가 아닌 인공적 변화를 가능케 하고 있다. 현재, 전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엘니뇨에 의한 기상이변이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인간에 의한 기후변화는 지구 전 지역에 걸쳐 인류가 예상치 못한 피해를 가져오게 하고 있다. 한국도 결코 이로부터 예외일 수 없음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sample |
* 본 장의 내용은 sample 자료로서 '한국기후' 자료의 임시본입니다. * 본 장에서는 한국기후와 관련한 일체의 지리정보자료를 기후요소 별로 요약, 정리하고자 합니다. * 현재 약 5MB 분량의 내용을 별도로 제작 중이며, 작업이 완료 되는대로 업로드하겠습니다. |
![]() |
- 형태에 의한 분류
* 층운형(납작한고 편형한 구름) :층운, 고층은, 권층운, 권운, 난층운
* 적운형(부피 감과 입체감이 있는 구름) : 적운 권적운. 고적운, 적란운
- 구름의 높이에 의한 분류
* 상층운(구름 고도가 높운것) :권운, 권층운, 건적운
* 중층운(구름 고도가 중간인 것) :고층운, 고적운, 난층운
* 저층운(구름 고도가 낮은 것) : 층적운, 층운
* 수직운(고도가 낮은 곳에서 높은 곳까지 자리하는 것) :적운. 적란운
- 구름의 기능에 의한 분류
* 소나기성 비를 내림(천둥, 번개 동반) : 적란운
* 장마성 비를 내림: 난층운
- 생성기층에 의한 분류
* 안정한 기층 : 층운형
* 불안정한 기층(공기의 상하운동 활발) : 적운형
1. 비란 무엇일까? 가. 전선면에 따라 상승하는 기류 3. 소나기와 장마 가. 소나기: 더운 공기와 찬 공기가 부딪히는 곳에서 내리는데 더워진 공기 아래로 찬 공기가 들어가면서 밀려나는 더운공기층에서 찬 공기에 닿는 부분이 비가 오므로 소나기는 옮겨가면서 (움직이면서)내리게 된다. 나. 장마 : ![]() 차고 습기가 많은 기단(오호츠크해 기단)과 온도가 높고 습기가 많은 기단(북태평 양기단)이 서로 만나 성격이 다른 두 고기압이 서로 밀고 밀리면서 계속 비를 내리는 것을 장마라고 한다 4.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기단 | |||||||||||||||||||||||||||||||||||||
| |||||||||||||||||||||||||||||||||||||
* 폐색 전선 이동 속도가 빠른 한랭 전선이 온난 전선을 따라가서 겹쳐진 전선으로 한랭형과 온난형폐색 전선으로 구분 * 정체 전선 세력이 비슷한 두 기단이 접하여 오랫동안 정지 상태에 있는 전선 |
공기의 움직임 | |
![]() 이와같이 온도의 변화에 따라 기압이 변함으로서 대류현상이 나타나며 이때의 공기의 움직임을 바람이라고 한다. [작은 그림을 누르시면 큰 그림을 보실수 있습니다] | |
* 해풍 : 낮에는 고체인 육지가 액체인 바다보다 빨리 데워지므로 그 위의 공기도 빨리 데워져서 위로 상승하게 되고 그 빈자리에 바다의 찬 공기가 흘러드는 것 |
![]() |
* 육풍 : 밤이 되면 빨리 차가워진 육지의 공기가 천천히 식는 바다 쪽으로 이동하는 것. |
![]() |
* 계절풍 : 공기의 대류중에 규모가 크고 계절에 따라 방향이 바뀌며 일어나는 바람을 말하며 해풍과 육풍이 생기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그래서 여름에는 바다에서 온도가 높고 습기가 많은 바람이 물어오지만 온도차가 적기 때문에 바람이 약하다. 겨울에는 온도차가 많기 때문에 강하고 습기가 적은 바람이 분다. | |
![]() |
![]() |
* 곡풍 : 산악 지방에서는 낮에 산허리가 태양열로 따뜻해지기 때문에 골짜기에서 산꼭대기를 향하여 부는 바람 * 산풍 : 산악 지방에서는 밤에 산허리가 빨리 식기때문에 산꼭대기에서 골짜기로 향하여 부는 바람 ※ 기타 상공의 바람(기구 자전으로 인한 대기의 순환) | |
★ 궁금해요...? 황사현상(눌러보세요!) |
대기의 온도를 변하게 하는 여러가지 원인들을 알아보자. |
ⓛ태양의 일조량 :
③ 지구의 온도를 높이는 인위적인 요인으로 온실가스를 들 수 있는데 온실가스란 석유 석탄 등의 화석연료 의 과다한 사용으로 공기 중에 CO2 증가해서 지구의 온난화를 가져오는 요인이다. 이것은 이상기후 등의 자연 재해를 가져오므로 UN과 여러 환경단체에서 지구온난화 방지에 대한 연구와 대책을 세워서 노력중이다. |
계절의 변화가 생기는 이유는 지구의 공전 때문이다 |
* 계절의 변화
![]() * 지구의 공전이란 지구가 태양을 중심으로 1년에 1바퀴씩 반시계 방향으로 도는 운동이며 정확한 공전 주기는 365.25일 이다 |
1. 우리나라의 위치와 기후
우리나라는 북위33~43도 사이의 중위도에 위치한다.
또한, 거대한 아시아대륙의 동쪽에 놓여 있는 반도이므로 대륙과 해양의 영향을 동시에 받는다.
따라서, 계절풍과 중위도 편서풍의 영향을 받아 대기의 활동이 활발하고, 날씨변화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진행된다.
(1) 계절풍기후
우리나라가 온대와 냉대에 걸친 계절풍 기후에 속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입니다. 겨울에는 시베리아로부터 차고 건조한 북풍 또는 북서계절풍이 불어와 나씨가 몹시 춥고 건조합니다. 여름에는 태평양으로 부터 덥고 습기가 많은 바람이 불어와 날끼가 무더우며 비가 많이 내립니다.
(2) 동안기후
큰 대륙의 동쪽해안에 위치한 온대 지방에 나타나는 기후를 동한기후라고 합니다. 동안기후는 대륙의 서쪽지방에 나타나는 서안기후에 비해 여름에는 기후가 높고 습기가 많으며, 겨울에는 기온이 낮고 건조하여 기온의 연교차가 큽니다.
(3) 대륙성기후
바다에서 멀리 떨어진 대륙의 내부에서 볼 수 있는, 육지의 영향을 크게 받는 기후를 대륙성 기후라고 합니다. 대륙성 기후는 일교차와 연교차가 바다나 해안 지바에 비해 매우 큰것이 특징입니다. 대륙에 붙어있으면서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의 기후는 전체적으로 대륙의 영향을 받고, 남에서 북으로 갈수록, 해안가에서 내륙지방으로 들어갈수록 도 대륙의 영향을 받습니다.
(4)삼한사온
우리나라와 중국의 만주,화북지방에서 볼 수 있는 겨울철 기온의 주기적인 변화로, 이것은 시베리아 고기압이 7일을 주기로 세력이 변하기 때문입니다. 즉, 고기압이 발달하는 3일간은 춥고, 고기압이 약해지는 4일간은 비교적 따뜻한 날씨로 보이게 된는 것입니다. 그러나 춥고 따뜻한 날의 비율이 반드시 3:4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5) 사계절이 뚜렷한 기후
중위도에 위치한 온대와 냉대에 걸친 계절풍 지역에 속하기 때문에 사계절의 변화가 뚜렷합니다. 남부지방은 사계절이 3개월씩 고르게 나타나지만, 중부에서 북북로 갈 수록 겨울이 길어집니다.
2. 사계절의 변화
ㄱ.봄과 가을철에는 고온 건조한 양쯔강 기단의 영향을 받는데 이 기단은 규칙적으로 우리나라를 통과하므로 주기적으로 날씨 변화를 가져온다.
① 봄철 날씨의 특징a. 이동성 고기압과 우리나라 서쪽에서 계속해서 다가오는 저기압의 영향으로 흐린날과 맑은 날이 주기적으로 계속된다.
b. 꽃이 피는 이른봄에 쌀쌀한 바람이 두세차례 불어도는데 이를 꽃샘바람이라고 한다.
c. 푄현상(높새바람)
푄이란 산을 넘어 불어내리는 따뜻하고 건조한 바람으로 우리나라의 영서지방에 부는 건조하로 더운 바람을 말한다. 원인은 오츠크해 고기압이 늦은 봄에서 초여름에 걸쳐 확장하면서 우리나라에 북동풍을 몰고오기 때문이다.
② 가을철 날씨의 특징 a. 공기가 건조해지고 먼지나 수증기가 적어져서 푸른색이외의 빛은 점점 흩어지기 어렵게되어 말고 파란 가을하늘이 나타나고 최저기온이 8-9℃로 내려가면 나무에 단풍이 들기 시작한다.
b. 가을장마는 시베리아에서 발생한 이동성 고기압과 북태평양 기단이 부딪쳐서 생기며, 여름 장마보다 더 많은 비를 내리기도 한다.
ㄴ.여름철에 북태평양 기단의 영향을 받아 기온이 최고 30도를 넘는 무더위가 나타나며, 연 강수량의 45~60%나 되는 많은 비가 내린다.
특히, 우리나라의 강수는 호우 적이고 소나기 성이 특징인데 장마철에 집중호우가 많이 나타난다. 계절풍의 영향으로 바람은 남서 내지 남동풍이 우세하고, 풍속은 겨울철에 비하여 약하다.
ㄷ.겨울철에는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으로 차고 건조하며 계절풍의 영향을 받아 북서풍이 강하게 분다.
① 겨울철 날씨의 특징
a. 차고 건조한 날씨가 계속되며 실효 습도가 낮아져서 건조주의보, 화재주의보 등이 실시된다.
b. 삼한사온 현상: 북풍이 부는 겨울철의 기압배치는 서고동저로 나타나며 세찬 북서풍때문에 동쪽의 저기압은 더욱 동쪽으로 밀려나는데 서쪽 고기압과 동쪽 저기압의 차가 크면 클수록 더 강한 북서풍이 불어오게 되고 서쪽으로 부터 이동성 고기압이 서서히 우리나라에 들어오면 따뜻한 날씨가 된다.
c. 대륙에서 불어오는 북서계절풍의 영향으로 눈이 내린다.
세계의 여러 지역의 기후를 비슷한 것끼리 모아 몇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기후라는 것은 같은 위도 지방이라도 위치나 지형등에 의해 차이가 심하므로 실제적인 분류가 힘들다. | ||||||||||||||||||||
* 분류 방법 가: 기후 분포의 지리적인 차이를 발생하게 하는 위도, 위치, 지형에 세계의 기후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구분되고 있으나, 그 중 괴펜(W.Koppen)에 의한 구분이 잘 알려져 있다. 그는 기후 환경을 잘 반영하는 식물분포에 착안하여 특색있는 지표식물의 분포한계와 일치하는 기온이나 강수량은 한계를 정하고 기호를 붙여 아래와 같이 세계 기후를 11개 기후로 구분하였다. | ||||||||||||||||||||
| ||||||||||||||||||||
| ||||||||||||||||||||
|
1. 기후: |
* 내적 요인:
1. 대기:
대기 투명도의 변화라고도 하며 화산재, 먼지 등이 대기 중에 많이 포함되어 있으면 태양 빛을 차단하는 효과를 하므로 지구의 기온은 점점 한랭해 지며 그와 반대로 이산화탄소, 메탄, 수증기 등이 증가하게 되면 온실효과 때문에 지구의 온도는 상승한다.
2. 해양, 바다얼음, 육지얼음:
지구의 기온이 온실효과로 상승하면 육지 얼음(대륙빙하)이 녹아서 바다로 들어가므로 해수면이 높아지고 반대로 대륙 빙하가 증가하면 수면이 낮아지며 이러한 변화는 다시 지구 기후에 영향을 주게된다.
3. 생물체와 생태계의 변화.
4.눈덮힌 정도
5. 물 수지
* 외적인 요인
1.화산 분화에 의한 상층권의 에어로졸 증가
2.태양활동의 변화: 태양의 흑점주기는 11년인데 흑점수가 많을수록 태양활동이 활발하다.
a. 태양의 흑점이동:
▶ 태양의 흑점변화를 봅시다.
[글자를 클릭하시면 태양의 흑점이동을 보실 수 있습니다.]
궤도로 자전과 공전을 하고 있는 듯이 보이지만 천문학자들의 조사에 의하면 지구 자전축은 약 4만년을 주기로 21.75도에서 24.25도 사이로 변하는데 자전축이 기울어질수록 계절의 변화는 더욱 커지고 연교차도 커진다. 또, 지구의 공전 역시 그 궤도가 조금씩 변하는데(공전궤도 이심 율의 변화) 약 85000년을 주기로 원궤도에서 타원궤도로 궤도 이심 율이 변한다 이 이심 율이 클수록 기온의 차이가 커지며 계절의 변화도 커진다.
b. 태양과 지구의 천문학적인 상대적 위치:
지구와 태양은 늘 일정한 궤도로 자전과 공전을 하고 잇는 듯이 보이지만 천문학자들의 조사에 의하면 지구의 자전축은 약 4만년을 주기로 21.75도에서 24.25도 사이로 변하는데 자전축이 기울어질 수록 계절의 변화는 더욱커지고 연교차도 커진다. 또, 지구의 공전역시 그 궤도가 조금씩 변하는데(공전궤도 이심율의 변화) 약 85000년을 주기로 원궤도에서 타원궤도로 궤도 이심율이 변한다. 이 이심율이 클수록 기온의 차이가 커지며 계절의 변화도 커진다.
1. 사람 활동에 의한 기후변화(삼림파괴, 도시화의 진행)
지구에 입사한 태양복사 에너지중 30%는 구름과 지표면에 반사되거나 공기 중에서 산란(흩어짐)되어 우주공간으로 되돌아가는데 지표면에 입사되는 총복사 에너지량에 대한 지표면에서 반사되는 에너지량의 비율을 알베도(반사율)이라고 한다. 알베도가 변화하는 요인으로는 대규모 댐의 건설, 살림파괴, 사막화, 극지방의 빙하 후퇴등이며 이 결과로 지구의 기후가 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로 인해 도시기후가 나타나게 되는데 도시기후란 근대화에 따라 도시가 발달하면서 도시를 주변지역과는 특유한 기후를 갖게 되고 도시기후가 주변지역과 다르게 나타난다.
* 열섬(heat island): 도시 기온분포에 관한 선구적인 연구로는 1927년에 W.Schmidt가 빈(wein)시의 기온분포를 밝힌 후, 세계 여러 도시에 기온분포가 조사되었다. 그 결과 도시의 등온선은 대체로 동심원상으로 나타나고 도심지는 고온지대가 형성되어 소위 '열섬'현상이 나타난다. 그리고 주변의 교외와의 경제지역, 인구나 건축물의 밀도가 낮은 곳은 열섬에 대해 비교적 저온인 신선한 지대(cool island)가 나타나다.
【복사평형알베도】
2. 온실효과 :
산업발전의 원동력이 되는 석유 석탄등화석연료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co2)에 의한 온실효과로 지구의 온난화가 지속되어 지구의 기후변화와 이상기후현상을 일으키고 있다.
3. 지구 대기의 온실효과 : 대기중의 수증기와 이산화탄소는 태양복사에너지를 통과시키지만 지구복사에너지는 나가지 목하게 차단하여 지구를 따뜻하게 보온하는 역할을 한다.
'dsoh 취미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름 모양 (0) | 2006.10.30 |
---|---|
푄현상과 높새바람 (0) | 2006.10.30 |
XC 및 리그선수가 읽어두면 유익한 정보 (0) | 2006.10.05 |
06리그전 선수 연습비행... (0) | 2006.10.05 |
크로스컨트리를 위한 정보 (0) | 2006.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