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oh 취미/이론

안전사고 예방법

air fly 500 2008. 1. 11. 12:07
자료를 보면 안전사고는 이륙 시 30~40%, 착륙 시60~70% 비행 중 3~5%가 됩니다

1. 이륙시 안전사고 예방 :
주로 산 사면에 배풍, 측풍에 나무가 없는 이륙 장 전면에 충돌하여 생기는 사고
① 반드시 정풍에 이륙하세요 - 바람이 좌우로 30도 이상 불땐 이륙하지 마십시요
② 이륙장은 좌우로 일직선의 사면으로 조성된 곳에서 이륙 하십시요
③ 이륙시 풍속은 초보자는 16k/h 상급자는 20m/h이내에 이륙 (무풍시에도 초보자는 안전사고 우려있음)
④ 캐노피 산개 시 지면으로부터 끝 부분이 지면에서 들릴 정도 2회 정도 들어 라인 상태 확인(꼬임, 나무가지)
⑤ 캐노피 산개시 비행자 머리 위 중앙에 올리며 한쪽으로 기우림이 있을시 수정(조정)하여 이륙
⑥ 캐노피 산개 후 도약 시 캐노피를 따라가지 말고 비행자가 캐노피를 끌고 갈 것(앞전 또는 윙 이 접힘)
⑦ 산개후 도약시 다리를 들지말것(100%이륙실패)
⑧장비 점검은 항시 본인이 점검(하네스 버클, 비너, 예비산, 헬멧 턱끝 : 매우 중요,)

2. 착륙시 안전사고 예방
① 주로 장애물 충돌과 실속(엉덩이착륙)에 의한 사고
② 착륙장 진입 시 착륙장 중앙으로부터 50m 전방에서 일직선 정풍 진입(이것만 지키면 안전사고 없음)
③ 착륙장진입과정에서 진행각도의 30도 이상의 회전비행하지 마십시요
④ 착륙고도 부족 시 미리 제2,제3의 착륙장을 생각하고서 안전지역으로 착륙 하십시요
⑤ 논·밭 두렁은 매우 위험한 장애물이므로 억지로 넘으려고 하지 말고 미리 브레이크를 걸어 착륙하세요
⑥ 전선, 숲을 간발의 차이로 넘으려고 하지 말고 미리 회전하든지 숲에 불시착 하십시요
⑦ 착륙장 진입 시 위험상황 이외는 비행자 높이 기준 2m이내에서 브레이크 동작을 하지 말 것(사고 주원인)
⑧ 진입 시 낮은 고도에서 조종 줄과 몸 조종 두 가지를 같이 사용하지 말 것(빠른 회전 으로 스핀 발생)
⑨ 착륙자세는 하네스에서 몸을 세워 상체는 앞으로 하체는 뒤로하여 착지시 달릴수 있도록 할것
⑩ 착륙장 상공에서 관중에게 보여주는 비행을 하지 말것 (낮은 고도에서 A,B스톨, 윙오버, 스파이럴 등)

3. 비행중 안전사고 예방
① 주로 본인 기량이상의 행동과 안전장비 미비, 거친 기상으로 발생
② 캐노피는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아 강한 써멀이나 와류에서의 안전성을 확보해야함.(라인절손, 캐노피 파열)
③ 캐노피 수리 범위가 20~30%일 때는 사용하지 마십시요 성능저하와 자주 접힘 발생
④ 장비수리는 전문업체에 맡겨 정상적인 수리를 하여야합니다(청테이프수리, 세탁소수리, 대체라인사용 금지)
⑤ 예비낙하산은 필히 장착하여야하며 정기적으로 건조시켜 재 포장 하여야함(안 펴지는 예비산도 있었음)
⑥ 메인 비너는 패러글라이더용 전용 비너를 사용하여야 하고 비행시간이 많은 것은 교체
⑦ 본인 기량 이상의 남이 하는 비행과 개념이 없는 묘기비행은 절대 따라 하지마십시요
⑧ 자기 기량과 테크닉에 맞는 글라이더를 선택하여 비행하십시요
⑨ 심신이 불안정 할 때는 절대 비행하지 마십시요(약물복용, 주취, 음주, 고혈압, 심장질환, 허기) 쇽크 발생

'dsoh 취미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상판단  (0) 2008.01.11
비행규칙  (0) 2008.01.11
불완전한 착륙시 대응법  (0) 2008.01.11
비행일지 작성법  (0) 2008.01.11
비행자가 알아야할 100가지 상식  (0) 2008.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