써멀비행의 전제조건
이제 써멀은 비행활동에 있어서 낯선 용어가 아닙니다. 클럽이나 동호회원 아무나 붙잡고 물어봐도
그 뜻을 모르는 사람은 별로 없습니다. 좋은 책과 충분한 경험을 가진 선배들이 주위에 많기 때문 입니다.
누구나 활공장에서면 "써멀이 어쩌고.. 저쩌고.. 하지만 막상 실제로 성공적인 써멀비행을 했는가?
하는 물음에는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고개를 흔듭니다. 보기는 많이 봤고 얘기는 많이 들었지만..
또 책을 이용하여, 선배들의 조언을 통하여 충분히 지식을 갖고 있기는 하지만 왜! 실제로 자신은
써멀비행을 성공하지 못할까요?
성공적으로 객관적인 평가를 받을만한 써멀비행은 사실 쉽지 않습니다. 과연 이것이 써멀인가?
아닌가?에서부터 시작되는 써멀사냥은 누구나 동경하지만 유독 자신에게만 써멀비행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되는 분은 다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단 중급이상의 비행기술은 기본적으로 갖추어야겠죠?
1.충분한 회전연습을 하라.
써멀사냥은 회전에서부터 시작됩니다. 흔히 써클링이라 말하는 써멀사냥의시작은 360도 회전을 얼마나
훌륭히 수행할 수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결과는 엄청나게 달라집니다.
초기 써멀은 난폭하고 그 반경이 작기 때문에 상당한 급한 회전이 필요하며, 주로 능선의 주변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능선과의 충돌이나 브레이크의 급조작으로 인한 스톨의 위험을 늘 갖고 있습니다.
그러기 때문에 회전시 자신의 기체가 풍속에 대해 얼마나 밀리는가(Draft)를 충분히 파악하여야 합니다.
우선 360도 회전을 충분히 연습 하십시요.
바람이 없는 날, 바람이 적당한 날, 바람이 약간 강한 날, 회전연습을 하면서
자신의 기체가 얼마나 밀리는가를 확인하고.. 그때의 바람에 따라서 얼마만큼 정풍을 향한 보상을 해
주어야 하는지를 파악하십시요. 기껏 좋은 써멀을 만나고도 바람에 밀려 상승하지 못하고
늘 능선에서만 서성대는 써멀 사냥꾼이 많습니다.
2.장비에 대한 믿음을 가지라.
중급과정을 충분히 거쳤다면 기체의 요동이나 피칭에 대해 어느정도 두려움은 사라졌을 것 입니다.
그러나 본격적인 써멀 비행을 원하신다면... 기체에 대한 완전한 믿음을 가져야 하고.. 분명 그 믿음을 확신해야 합니다.
그러나 막상 써멀에 진입하고 기체가 요동을 칠때면... 겁나는걸 어떡 합니까? 하고 당신이 물으신다면...
그대여!! 아직은 써멀비행을 욕심내지 마십시요.
그대신 우선 기체에 대한 믿음을 갖기위한 훈련을 더 해야 합니다.
기체는 우선 감항검사를 통과한 기체를 구하시고.. 예비낙하산도 없다면 꼭 구입하여 달고..
우선 귀접기부터 시작하여 좌,우 아무쪽이든 접기,앞전접기, 브레이크 실속등등 여러가지로 기체를 테스트해 보십시요
기체의 요동을 느낄수 있을 것입니다.. 어때요? 기체는 언제나 정상적으로 회복되죠?..
믿음을 가지십시요..기체를 믿으세요.
3.기상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쌓아라.
써멀사냥에 기본적인 기상상식을 모르면 안되겠죠? 써멀이 왜 생기는지, 어디서 생기는지, 어떻게 흐르는지,
어디로가서 어떻게 소멸되는지를 모른다면, 써멀 사냥은 분명 실패합니다.
기상이 대체로 안좋은 날 써멀사냥을 위하여 아무리 기를쓰고 몸부림치며 능선을 헤메고 다녀도
기체는 상승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륙전에 기상을 충분히 파악하세요.
4. 필요한 자신감을 가지라.
써멀사냥을 처음에 성공하기 위해선 사실 기술적이라기 보다는 정신적인 무장이 더 필요한지 모릅니다.
우리는 눈에 보이지도 않는 상승기류를 찾아내야 하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늘 써멀사냥하는 자기 스스로를 상상하세요.
나중에 그것이 당신의 써멀사냥을 성공시켰다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써멀은 분명 어딘가에 있습니다.
우리가 그냥 지나치고 있으며, 그것은 언제나 우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주변의 선배들에게 많이많이 물어보세요..
사실 선배들은 그게 말로 잘 설명이 안되다 보니..
써멀사냥의 비결을 그냥 가슴에 묻어두고 있는 사람들이 많거든요.
'dsoh 취미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탑랜딩(Top Landing) 방법 (0) | 2008.01.11 |
---|---|
효과적인 열기류 소어링 방법 (0) | 2008.01.11 |
지면효과 (Ground Effect) (0) | 2008.01.11 |
Canopy 익면하중(翼面荷重) (0) | 2008.01.11 |
날개의 아스팩트 치 (値) (0) | 2008.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