써멀소아링 전략 (Thermal Soaring Strategies) * 타이트 & 루즈 서클링(Tight and Loose Circling) 이 기술은 센터링선회를 늦추었다(loose) 당겼다(tight) 하면서 써멀속에서 보다 강한 써멀의 코아(중심)을 찾기위해 선회운동하는 것입니다. 보다 강한 리프트를 찾는데는 보다 넓은 영역을 찾아보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합니다. (1) 날개끝에 상승풍의 힛트를 느끼면 선회에 들어갑니다. (2) 선회중 패러글라이더가 상승기류속에 들어가서 상승할 경우 선회를 지속합니다. 만일 기체가 상승을 못하거나 생각보다 상승이 잘 안될때는 선회를 늦추고(loose) 다음에 날개끝에 강한 상승풍이 힛트하는 것을 기다립니다. 상승풍을 힛트하면 재차 선회를 당겨서(tight) 가급적 작은 반경의 선회를 시도합니다. (3) 이때 패러글라이더의 속도가 너무 늦으면 실속하기 쉽고 고도를 크게 잃는 동시에 비행조종이 대단히 어려워지고 만일 난기류를 만나기라도 하면 패러글라이더가 완전히 실속해서 매우 위험합니다. 반대로 속도가 너무 빠르면 선회반경이 커져서 상승기류중심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써멀 센타링중에는 날개를 가장 조작하기 쉬운 안전활공속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이러한 타이트.앤드.루즈를 반복하면서 상승기류가 가장 강한 써멀코아로 패러글라이더를 선회이동시키는 것입니다. * 써멀 컷인 라이드 (Thermal Cut in Ride) 써멀 센타링에서는 최초의 선회로 완전히 써멀의 리프트에 올라타기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반드시 수정비행이 필요하다는 경험에서 우러난 고도의 기술입니다. 이기술은 상당히 공격적(적극적)이며 위험부담도 커서 숙련된 조종자에 맞는 방법입니다. (1) 최초의 선회로 상승기류에 들어가면 일단 선회를 늦추고(loose) 보다강한 리프트가 예측되는 써멀 코아로 직선적으로 진입(cut in)해서 코아에 힛트하면 다시 선회를 당겨서(tight) 센타링을 유지합니다. 이당김이 몇초라도 �으면 크게 코아를 벗어나게 됩니다. (2)만일 센타링도중에 하강기류에 들어가면 즉각 선회를 당겨서(tight) 급선회로 하강기류를 탈출합니다. 이때 즉각 탈출을 하지 않으면 하강기류속에서 그선회를 완료하게 되어 패러글라이더는 크게 고도를 잃게 됩니다. * 더블 컷인 라이드 (Double Cut in Ride) 앞서 말한 컷인.라이드를 더 발전시킨 기술입니다. (1) 상승기류에 들어가면 선회를 늦추고 더 강한 리프트가 있는 써멀코아로 컷인합니다. 운좋게 써멀코아로 들어가면 선회를 당겨서(tight) 일정한 속도와 뱅크각을 가지고 센타링을 유지합니다. (2) 패러글라이더가 리프트속에 들어있지만 써멀코아를 제대로 잡지 못한 선회라고 판단되면 90도 선회후 선회를 늦추고 적선에 가까운 비행을 수초동안 합니다. 그후 보다 강한 상승기류를 만나면 선회를 당기고(tight) 일정한 속도와 뱅크각을 가진 센타링으로 들어갑니다. (3) (2)항에서의 두번째 센타링도 상승기류를 충분히 잡지 못했다고 판단되면 270도선회후 다시 선회를 늦추고(loose) 직선에 가까운 비행을 수초동안해서 써멀코아에 힛트하는 것을 기다립니다. * 이더블.컷인.라이드의 기술은 가장 공격적인 써멀 센타링 기술로 보다 빨리 가장 상승기류가 상한 써멀코아를 힛트하고 싶은 조종자가 경기시합에서 사용합니다. 그러나 그반면에 선회의 당김과 늦춤의 몇초간의 지체나 판단 착오로 크게 써멀을 벗어나버리는 리스크(위험부담)가 큰 기술입니다. |
'dsoh 취미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전(spin) (0) | 2008.01.11 |
---|---|
날개 앞전 접힘 (0) | 2008.01.11 |
써멀을 잡기2.. (0) | 2008.01.11 |
stall의 회복방법 (0) | 2008.01.11 |
호버링(hovering) (0) | 2008.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