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의 전자지도와 경위도 좌표값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입니다.
북미(미국, 캐나다)와 유럽은 상세지도를 얻을 수 있으며, 기타 지역은 위도선과 경도선이 0.5도 간격으로 표시된 지도를 보실 수 있습니다.
* 활용팁
1. 위 사이트에서 [Maps] 탭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지도창이 열립니다.
2. 지도의 이동 : 지도상의 특정 지점을 클릭하면 해당 지점이 지도창의 중심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 때, 지도창 하단의 [Zoom on map click]에 체크표시(v)가 되어 있을 경우에는 지도상의 특정 지점을 클릭할 때마다 해당 지점이 지도창의 중심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지도가 확대됩니다. 이 기능은 지도검색에 있어 도리어 불편하므로 체크표시를 지워두는 것이 좋습니다.
3. 지도의 확대/축소 및 지도창 크기 조절 : 지도창 좌측의 축척 단계를 클릭하여 지도를 확대/축소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도창 좌측상단의 [Map Size] 중 가장 큰 사각형을 클릭하시면 지도창의 크기가 가장 크게 표현되어 검색이 편리합니다.
4.북미 지역이나 유럽 지역의 특정 지역 상세지도는 지도창에서 직접 지도를 이동시키고 확대하여 검색합니다. 또는 화면 하단 [Find a Place]의 [Place name in]을 클릭하고, 카테고리 상자에서 [Europe]과 [North America] 중 해당 지역을 선택하고, 아래 공란에 해당 국가명이나 도시명을 기입한 후, 아래 [Get Map]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이 때 검색결과가 여러 개일 경우, 가장 정확한 지명을 지정한 후, 아래 [Get Map]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5. 전세계에서 특정 지역의 경위도 좌표계가 표시된 지도를 보려면 화면 하단 [Find a Place]의 [Place name in]을 클릭하고, 카테고리 상자에서 [World Atlas]를 선택하고, 아래 공란에 해당 국가명이나 도시명을 기입한 후, 아래 [Get Map]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이 때 검색결과가 여러 개일 경우, 가장 정확한 지명을 지정한 후, 아래 [Get Map]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6. 지도화면 좌측하단에는 지도상의 실제 거리가 표시되며 바로 옆의 [Legend]를 클릭하면 지도에 사용된 부호의 범례를 볼 수 있습니다.
7. 좌표값 구하기
1) 지도 화면 상에서 좌표값을 구하고자 하는 지점에 손모양의 커서를 위치시키고 마우스의 왼쪽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지점을 지도 화면의 중심에 위치시킵니다.
2) 지도 화면 상단의 [Save to Pocket PC]를 클릭하여 새 창으로 해당 지도 화면을 엽니다.
3) 새 창으로 연 지도 화면 상의 아무 곳에 커서를 위치시키고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메뉴창을 연 후, [속성]을 클릭하여 [등록 정보]를 엽니다.
4) [등록 정보]에서 [일반]의 내용을 마우스의 왼쪽 버튼을 누른 상태로 드래그하여 복사하고, 메모장에 복사한 내용을 붙여넣기 하여 보면 [hddd.ddddd˚] 좌표포맷의 좌표값(Map Datum : WGS84)이 기재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아래의 [일반] 내용 중 파란색으로 표시한 부분이 좌표값입니다.
http://www.mapblast.com/(khef5ka4dlrmca55omydloyd)/FixMPSvc.aspx?MPMtd=PPC&L=WLD&C=37.561162061729036%2c126.99584598215972&A=170&S=800%2c740&P=%7c9bc828%7c&gb=3&TI=Gwacheon%2c+Gyeonggi%2c+South+Korea&Type=Map&PN=1802355949
[hddd.ddddd˚] 좌표포맷에서는 일반적으로 소수 여섯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소수 다섯째 자리까지만 취하면 됩니다.
좌표값이 남위일 경우 "-"가 표기되고 북위일 경우 "-"가 표기되지 않으며, 좌표값이 서경일 경우 "-"가 표기되고 동경일 경우 "-"가 표기되지 않습니다.
5) 지도상에 표시된 지명의 정확한 좌표값을 구하기 : 우선 지도상에 표기되어 있는 영문 지명을 가지고 위 5.항의 절차에 따라 해당 지역의 지도를 다시 검색합니다. 지도의 이동을 하지 않고 그 상태로 위 7.항의 2)호, 3)호, 4)호의 절차에 따라 좌표값을 검색하면 됩니다. 이 때 [일반]의 내용에는 아래와 같이 해당 지명의 좌표값이 [hddd.ddddd˚] 좌표포맷 소수 다섯째 자리까지만 기재되어 있으며, 해당 영문 지명도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http://www.mapblast.com/(khef5ka4dlrmca55omydloyd)/FixMPSvc.aspx?MPMtd=PPC&L=WLD&C=37.41753%2c126.99689&A=500&S=575%2c470&P=%7c9bc828%7c&TI=Gwacheon%2c+Gyeonggi%2c+South+Korea&Type=Map&PN=1802355949
* 위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지도로 외국 관광, 배낭 여행, 대륙 횡단 투어(MTB, 사이클, 4WD) 등에 GPS 맵핑용 지도 데이터로 활용해도 좋을 것입니다.
* 기타 전세계 전자 지도 사이트
http://plasma.nationalgeographic.com/mapmachine/
전국 중요 활공장 및 인근 W.P
5020 사용설명서
no |
Name |
coordinates |
Description |
1 |
P01 |
52S X=428520 Y=4068185 |
운달산 |
2 |
P02 |
52S X=429965 Y=4072218 |
여우목 |
3 |
P03 |
52S X=424464 Y=4058052 |
오정산 자락 |
4 |
P04 |
52S X=428531 Y=4063155 |
성암산(봉수대) |
5 |
P05 |
52S X=422898 Y=4057866 |
진남터널 정상 |
6 |
P06 |
52S X=425482 Y=4056921 |
문경대 뒷산자락 |
7 |
P07 |
52S X=420997 Y=4065136 |
인공폭포 봉우리 |
8 |
P08 |
52S X=420243 Y=4070572 |
주홀산 주봉 |
9 |
P09 |
52S X=423558 Y=4069622 |
팔영리 옆산 |
10 |
P10 |
52S X=421384 Y=4075372 |
토암산 |
11 |
P11 |
52S X=417182 Y=4062955 |
백화산 |
12 |
P12 |
52S X=419115 Y=4061787 |
마성면 성주산 |
13 |
P13 |
52S X=439452 Y=4068004 |
하궁다리 |
14 |
P14 |
52S X=440633 Y=4071496 |
적성3리 동쪽산 |
15 |
P15 |
52S X=434408 Y=4070083 |
도마재 |
16 |
P16 |
52S X=434884 Y=4066226 |
반야봉 |
17 |
P17 |
52S X=430184 Y=4074495 |
대미니산 |
18 |
P18 |
52S X=429902 Y=4078573 |
문수산 |
19 |
P19 |
52S X=426497 Y=4081366 |
하설산 |
20 |
P20 |
52S X=432247 Y=4082389 |
강아지 박골 |
21 |
L01 |
52S X=424494 Y=4066018 |
착륙장 |
22 |
L02 |
52S X=422677 Y=4065315 |
제2착륙장 |
23 |
L03 |
52S X=429510 Y=4052416 |
점촌 영강천변 |
24 |
L04 |
52S X=438813 Y=4069746 |
동로면 들녘 |
25 |
L05 |
52S X=439341 Y=4088495 |
단성 체육공원 |
26 |
T01 |
52S X=426303 Y=4065315 |
문경 이륙장 |
'dsoh 취미 > g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2생활체육패러글라이딩챔피언전 (0) | 2012.10.09 |
---|---|
구글어스 활용법 (0) | 2008.01.11 |
GPS에 관한것들.. (0) | 2008.01.11 |
트렉(궤적) 활용법 (0) | 2008.01.11 |
GPS 이용하여 내위치 찾기 (0) | 2008.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