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종이지도는 "도쿄맵" 으로 되어 있지만 "WGS-84맵"으로 제작된 지도가 있어 소개해 보고자 한다.
|
http://www.wireless.co.kr/ 이곳에 가시면 "GPS악세사리"란 안에 WGS84방식의 지도(1/150000)를 1만원에 구할수 있어요
참고로 1/50000 지도는 상세하고 정밀한 산악지형의 좌표를 구할수 있지만 두꺼운 책 두권으로 되어있어서 가지고 다니기엔 상당히 불편합니다
지도를 구했으면 위에 내용을 참고로 하돼 리그전에서 사용하는맵은 "WGS84맵의 UTM좌표체계"이지요
지도의 어느 한점에 좌표를 구하기 위해서는...
1. MLR GPS 맵을 UTM-> DDD:MM:MM(도 : 분 : % ) 변경 ->MLR표시창에는 000:00:00' 인것을 설정함.
2. GG21사의 지도를 보고 루트를 설정하고자 하는 목적지의 좌표를 입력
3. 여러명이 루트를 지정 지역리그전을 펼칠때는 GPS의 좌표체계를 다시 UTM으로 변경하면 자동으로 좌표가 변경됩니다
활용예)
1. 다수의 비행자가 이륙장에 오르니 풍향이 남서-> 북서 로 바뀌었다
2. 기상은 짙은 구름이 하나둘 걷히고 높은 고도획득이 예상된다.
3. 지도를 보고 그날의 목적지와 풍향에 맞는 비행루트를 그려본다.
4. 최종안이 확정되면 그중한명이 MLR GPS를 보며 좌표체계를
UTM-> DD:MM:MM으로 변경후 지도를보고 좌표점들을 입력한다
5. 다시 DD:MM>MM->UTM으로 변경후
6.이륙장좌표 포함(예) 3개의 UTM좌표를 팀원들에게 불러줘 입력케 한다.
7.좌표점들을 루트 설정
8.경기방식과 기타 주의 사항을 팀장이 브리핑한후
9.즐건 비행을 한다^^
유익한점)
1. 목적비행을 할수 있어 비행실력을 다지기에 안성맞춤이다
2. 지역리그전을 잼나게 할수도 있을것 같다
3. 픽업시에도 유용한 사용방법이다.(지리를 몰라도 한방에 찾아갈수있다)
주의사항)
1. 지도만을 보고 좌표를 구하기 때문에 오차가 클수 있고(때에따라)특히나 착륙지점은 주의해서 좌표를 구하고 위험한 지역으로 설정해 놓았더라면 선행자의 무전 INFORM이나, 무리하지말고 상공에서 미리 안전한 곳을 물색 이동해야함.
지상에서 미리 연습후 적용하길 권합니다
참고: 용어해설
1.(World Geodetic System 1984(WGS84)
지도, 측량, 지구 중력등에 관계한 각종 산출물을 제작하여 미 국방성을 지원하고 있는 미 영상지도국(National Imagery and Mapping Agency, NIMA)의 전신인 미 국방지도국(Defense Mapping Agency, DMA)에서는 다른 타원체 기준의 좌표계로 나타내는 각종 자료들을 하나의 기준 타원체에 대한 좌표계로 나타내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지구 중심을 기준으로 한 하나의 지심좌표계로 표현된다는 것은 상이한 자료들간의 좌표의 일치성, 호환성 및 범 세계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기준좌표계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세계적으로 다양하게 사용도고 있는 지역 측지 좌표계와 지심좌표계간의 좌표는 간단히변환 되어질 수 있다.
1984년 이전까지는 지구중력의 관점에서 정해진 지구타원체 모델인 WGS72가 사용되었으며 WGS84 체계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지상에서의 Doppler 및 Laser를 이용한 위성 추적 자료와 지구표면의 중력자료뿐만 아니라 위성용 레이다 고도계를 이용한 지오이드 고도자료등 누적된 자료를 바탕으로 지구형상을 가장 근접하게 모델링하도록 타원체 계수를 수정하였다.
지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하나의 지심좌표계(Geocenitric Coordinate System)로 표현되는 WGS84(World Geodetic System, 1984)타원체는 각 국가간의 좌표에 관한 정보 일치성을 고려하여 현재 범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현재 군사용 표준으로 채택하여 1996년 7월 1일 이후부터 사용하고 있다)
2.DDD MM SS.ss 와 DDD MM.mm 차이
GPS를 활용하다보면 어떤사람은 도 분 초 로 말하고 어떤사람은
도분 까지만 좌표를 사용하여 혼란스러운 경우가 있습니다
우리가 사용하시에는 DDD MM.mm 36도 10.5 분)이 더욱 편리 합니다
그 이유는 분 이하 소숫점은 00 - 99 로 10진법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지도상에서 좌표를 추출할 때 눈짐작으로 몇 % 정도 되는지만 알면 좌표값 읽어낼 수 있으나, 소솟점 이하를 초단위로 표시하는 DDD MM SS 방식은 추출해 낸 값에 60 을 곱해야 하므로 좀 복잡 합니다
예를들어 36도 10.5 분 을 환산하면 36도 10분 30초(0.5 X 60=30) 로 환산해야 합니다
GPS를 사용하신다면 설정을 (Location) DDD MM.MM 으로 하시면 도분초로 설정하실 때보다 더욱 편리하실 것 입니다
'dsoh 취미 > g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GPS에 관한것들.. (0) | 2008.01.11 |
---|---|
트렉(궤적) 활용법 (0) | 2008.01.11 |
무전기 제조사별 초기화 방법및 각종 무전기 사용설명서 (0) | 2008.01.11 |
GPS 사용법및 셋팅법 (0) | 2008.01.11 |
GPS Track Log 구글어스에서 보기 (0) | 2008.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