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학줌 (Optical Zoom)
가변초점렌즈라고도 하는 이 렌즈는 정해진 범위에서 초점거리를 연속적으로 변경시켜 화상의 크기와 화각을 바꿀 수 있는 렌즈를 말한다. 보통 X배 줌이라고 하면 가장 긴 초점거리를 가장 짧은초점거리로 나눈 수를 말한다.
(예, 7mm~21mm 줌렌즈는 21÷7=3배 줌렌즈이다) ↔ 디지털줌
노출계 (Exposure Meter)
피사체의 밝기를 측정하여 그 밝기에 맞는 셔터속도와 조리개값을 나타내주는 장치.
카메라에 내장되어 있는 방식과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이 있다.
디지털 줌 (Digital Zoom)
디지털카메라에 의한 이미지의 확대를 말한다. 렌즈를 통해 들어온 실제의 빛이 아니라 화소와 화소간에 계산 된 값을 새로운 화소로 이용하여 확대하는 방법. 디지털 줌을 이용하면 화질의 저하를 가져온다. ↔ 광학줌
색심도
한 이미지 안에 얼마나 많은 색이 포함되어 있는 지를 나타내는 수.
이것은 bit 수에 의해 표현되기도 한다.
이 숫자가 클수록 더 많은 색을 표현한다.
구분 화소당 Bit수 공식 포함된 색의 수
흑백 1 2¹ 2
그레이스케일 8 28 256
256컬러 8 28 256
하이컬러 (High Color) 16 216 6만5천
트루컬러 (True Color) 24 224 약1,680만
스캐너 (Scanner)
사진, 슬라이드, 네가티브 등의 이미지를 컴퓨터에서 저장하고 편집하기 위해 디지털 데이타로 변환시키는 장치. 흔히 이런 과정을 '스캔받는다'고 표현한다.
CCD (Charge-Coupled Device)
디지털사진에 있어서 필름과 같은 역할을 한다.
렌즈를 통과해 들어 온 빛을 그 세기에 따라 전기의 세기로 바꿔준다.
CCD는 원래 천체망원경, 비디오 카메라 등에서 먼저 개발, 사용되었다.
오토발란스 (Automatic - White Balance)
사용자가 별도의 조정을 하지 않고 카메라가 자동으로 화이트발란스를 맞춰주는 방식.
(화이트발란스 참고) AE(Automatic Exposure) 자동으로 노출계가 결정한 셔터속도와 조리개값으로 촬영하는 방식. 기종에 따라서는 촬영자가 셔터속도나 조리개값 중 하나를 지정하면 나머지는 카메라가 결정하여 촬영하는 경우도 있다.
LCD (Liquid Crystal Display)
액정표시장치로 촬영할 이미지의 범위를 확인하거나, 촬영한 이미지를 검색하는데 쓰인다. LCD를 켜놓고 사용하면 전력소모가 많아서 배터리의 사용시간이 단축되므로 일부의 기종에서는 이 장치에 별도의 전원차단 스위치가 달려있는 것도 있다.
적목 (Red Eye)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때 확장된 동공 속에 있는 모세혈관이 플래시 빛에 반사되어 붉게 나타나는 현상.
JPEG (Joint Photogrsphic Experts Group, jpg)
파일압축 기술의 한 형태. 요즘에 출시되고 있는 대부분의 카메라들은 JPEG 파일로 압축을 한다. 일반적으로 '제이 펙(jay peg)'이라고 발음하는 이 파일은 이미지데이타의 용량을 줄이기 때문에 이미지의 저장과 전송시 많이 사용된다.
이 방식을 이용한 압축은 약간의 데이터 손실을 가져온다.
픽셀 (Pixel)
디지털이미지나 컴퓨터 모니터의 화상을 구성하는 하나의 점을 말한다.
이미지에 픽셀이 많으면 많을수록 고해상도이다.
해상도 (Resolution)
이미지를 구성하는 픽셀의 수에 의해 측정되어지는 값. '백만화소'처럼 총 픽셀수로 표현되기도 하고 '1600x1200'처럼 이미지의 가로와 세로 화소의 곱으로 나타내기도 한다.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는 크게 확대할 수 있다.
화이트발란스 (White Balance)
광원(태양광, 형광등, 백열등 등)에 따라 다른 색으로 나타나는 순백색의 물체를 흰색으로 나타나게 하는 조정. 자동적으로 화이트발란스가 결정되거나 '야외', '실내'와 같은 설정을 해주어 카메라가 보정할 수 있게 해준다.
필름카메라에서는 필터를 사용하여 발란스를 조정한다.
가변초점렌즈라고도 하는 이 렌즈는 정해진 범위에서 초점거리를 연속적으로 변경시켜 화상의 크기와 화각을 바꿀 수 있는 렌즈를 말한다. 보통 X배 줌이라고 하면 가장 긴 초점거리를 가장 짧은초점거리로 나눈 수를 말한다.
(예, 7mm~21mm 줌렌즈는 21÷7=3배 줌렌즈이다) ↔ 디지털줌
노출계 (Exposure Meter)
피사체의 밝기를 측정하여 그 밝기에 맞는 셔터속도와 조리개값을 나타내주는 장치.
카메라에 내장되어 있는 방식과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이 있다.
디지털 줌 (Digital Zoom)
디지털카메라에 의한 이미지의 확대를 말한다. 렌즈를 통해 들어온 실제의 빛이 아니라 화소와 화소간에 계산 된 값을 새로운 화소로 이용하여 확대하는 방법. 디지털 줌을 이용하면 화질의 저하를 가져온다. ↔ 광학줌
색심도
한 이미지 안에 얼마나 많은 색이 포함되어 있는 지를 나타내는 수.
이것은 bit 수에 의해 표현되기도 한다.
이 숫자가 클수록 더 많은 색을 표현한다.
구분 화소당 Bit수 공식 포함된 색의 수
흑백 1 2¹ 2
그레이스케일 8 28 256
256컬러 8 28 256
하이컬러 (High Color) 16 216 6만5천
트루컬러 (True Color) 24 224 약1,680만
스캐너 (Scanner)
사진, 슬라이드, 네가티브 등의 이미지를 컴퓨터에서 저장하고 편집하기 위해 디지털 데이타로 변환시키는 장치. 흔히 이런 과정을 '스캔받는다'고 표현한다.
CCD (Charge-Coupled Device)
디지털사진에 있어서 필름과 같은 역할을 한다.
렌즈를 통과해 들어 온 빛을 그 세기에 따라 전기의 세기로 바꿔준다.
CCD는 원래 천체망원경, 비디오 카메라 등에서 먼저 개발, 사용되었다.
오토발란스 (Automatic - White Balance)
사용자가 별도의 조정을 하지 않고 카메라가 자동으로 화이트발란스를 맞춰주는 방식.
(화이트발란스 참고) AE(Automatic Exposure) 자동으로 노출계가 결정한 셔터속도와 조리개값으로 촬영하는 방식. 기종에 따라서는 촬영자가 셔터속도나 조리개값 중 하나를 지정하면 나머지는 카메라가 결정하여 촬영하는 경우도 있다.
LCD (Liquid Crystal Display)
액정표시장치로 촬영할 이미지의 범위를 확인하거나, 촬영한 이미지를 검색하는데 쓰인다. LCD를 켜놓고 사용하면 전력소모가 많아서 배터리의 사용시간이 단축되므로 일부의 기종에서는 이 장치에 별도의 전원차단 스위치가 달려있는 것도 있다.
적목 (Red Eye)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때 확장된 동공 속에 있는 모세혈관이 플래시 빛에 반사되어 붉게 나타나는 현상.
JPEG (Joint Photogrsphic Experts Group, jpg)
파일압축 기술의 한 형태. 요즘에 출시되고 있는 대부분의 카메라들은 JPEG 파일로 압축을 한다. 일반적으로 '제이 펙(jay peg)'이라고 발음하는 이 파일은 이미지데이타의 용량을 줄이기 때문에 이미지의 저장과 전송시 많이 사용된다.
이 방식을 이용한 압축은 약간의 데이터 손실을 가져온다.
픽셀 (Pixel)
디지털이미지나 컴퓨터 모니터의 화상을 구성하는 하나의 점을 말한다.
이미지에 픽셀이 많으면 많을수록 고해상도이다.
해상도 (Resolution)
이미지를 구성하는 픽셀의 수에 의해 측정되어지는 값. '백만화소'처럼 총 픽셀수로 표현되기도 하고 '1600x1200'처럼 이미지의 가로와 세로 화소의 곱으로 나타내기도 한다.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는 크게 확대할 수 있다.
화이트발란스 (White Balance)
광원(태양광, 형광등, 백열등 등)에 따라 다른 색으로 나타나는 순백색의 물체를 흰색으로 나타나게 하는 조정. 자동적으로 화이트발란스가 결정되거나 '야외', '실내'와 같은 설정을 해주어 카메라가 보정할 수 있게 해준다.
필름카메라에서는 필터를 사용하여 발란스를 조정한다.
'이야기 > 알고나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도리 매는법 (0) | 2006.10.26 |
---|---|
유용한 자료들이 만이 있는 싸이틀 (0) | 2006.10.14 |
사진 잘찍는 법 (0) | 2006.10.14 |
자료실link (경매, 감정평가, 세금등) (0) | 2006.09.22 |
외도의 원인 (0) | 2006.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