써멀센터링의 기본(Thermal Centering) *써멀상승풍 주위에는 반드시 싱크(하강류)가 있어서 만일 강렬한 하강류 때문에 캐노피가 찌그러지면 캐노피의 회복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아래의 써멀소아링 기술은 캐노피가 어디까지나 정상상태에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습니다. 써멀 센터링이란 써멀을 힛트한 패러글라이더가 써멀중에서 가장 리프트가 강한 써멀코아를 중심으로 360도 선회를 계속하면서 상승비상을 하는 것입니다. 이하에 그 기본기술과 중요한 점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바리오미터를 읽는다 : 패러글라이더가 리프트를 타고 상승하고 있는 것을 바리오미터로 정확신속히 파악하면서 써멀코아에 접근합니다. 만일 여기서 패러글라이더가 리프트를 제대로 잡지 못할 경우에는 약 270도 선회후 선회를 늦추고 직선 비행을 수초 계속해서 강한 리프트를 기다립니다. 다시 리프트를 힛트하게 되면 선회를 조이고(타이트) 다시 코아로의 센터링을 시작합니다. (2)끈질기게 찾는다 : 써멀은 눈에 보이지 않고 작은 반경으로 존재하므로 써멀 센터링을 하는 조종자는 정확하고 민첩한 비행기술이 요구됩니다. 한번 써멀을 놓치면 다른 써멀을 찾아서 힛트하기가 어렵습니다. 한번 찾은 써멀은 끈질기게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3)속도.뱅크각.선회방향 : 써멀외측 주위는 하강기류를 포함한 난기류가 존재합니다. 써멀센타링을 시도하는 패러글라이더는 항상 날개의 뱅크각 또는 대기속도의 변화, 그리고 턴중(선회중)의 옆미끄럼등에 주의해야 합니다. 써멀코아에 접근하는 패러글라이더는 가급적 일정한 뱅크각과 속도를 유지하고 안정된 선회를 힘써서 될수 있는 한 작은 반경의 선회를 반복하면서 코아에 접근하도륵 하도록 합니다. 써멀코아에 들어간후의 패러글라이더는 급각도의 급선회를 합니다. 상승기류가 없는 안정된 대기중에서는 패러글라이더가 선회하게 되면 뱅크각이 클수록 낙하속도가 빨라지고 고도의 손실도 커집니다. 그러나 강한 상승기류가 존재하는 써멀코아에서는 패러글라이더의 선회강하는 상쇠될뿐만 아니라 오히려 상승을 합니다. 코아의 리프트 부분의 반경은 작으므로 가급적 작은 반경의 선회를 반복하는 것이 이 강한 리프트를 타는 요령입니다. (4)써멀센타링에서의 수정비행 써멀.센터링에서의 수정비행은 뱅크각을 증감시켜서 합니다. 써멀힛트후 센터링에 들어간 패러글라이더는 90도 선회후 자기가 상승하고 있는 것을 바리오미타로 점검하고 만일 상승하고 있지 않으면 2-3초간 날개의 뱅크각을 작게해서 거의 직선에 가까운 비행을 합니다. 그리고 다시 날개끝에 강한 상승기류를 느끼면 뱅크각이 큰 급선회로 돌아갑니다 (5)써멀.캡(써멀 정점) : 써멀은 상승함에따라 그써멀.코아의 반경은 차차 커지면서 마지막 정점(써멀.캡)에서 상승해온 따뜻한 기류가 써멀 외주로 퍼져나가게 됩니다. 이 퍼져나간 부위에서는 패러글라이더가 속도를 증가합니다. 써멀캡에서는 매우 강한 상승풍응 기대할 수 없지만 어느정도 크기의 상승풍이 큰 반경범위내에서 얻어짐으로 패러글라이더는 써멀캡근처에서 그반경에 맞도록 뱅크각이 작은 반경이 큰 선회로 수정해서 계속 고도를 유해 나갈수 있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