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oh 취미/gps

G.P.S란!

air fly 500 2006. 10. 5. 21:46
.. 우선 GPS는 지구 주위를 감싸고 있는 인공위성으로부터 발사되는 전파를 수신받아 그 전파의 발사 시간과 수신된 시간의 차이를 측정해 인공 위성과의 거리를 계산합니다.
(기준이 시간이므로 인공위성에 가장 정밀하다는 원자시계가 탑재되어 있어서 GPS의 시간은 주변에 사용되어지는 그 어떤 시계보다도 신뢰할 수 있습니다.)
동시에 12개의 위성 신호를 수신해 계산할수 있고, 1초 간격으로 계산해서 표시를 해줍니다.
인공위성의 위치와 거리의 데이터를 가지고 3개이상이면 평면상의 위치를, 4개 이상이면 고도를 포함하는 3차원적인 위치를 알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즉 GPS는 근본적 원리는 전파를 수신해서 지구상의 자신의 위치를 계산해주는 라디오와 같은 전파수신 장치이며, 거기에 부가적으로 위치의 변화를 비교해 진행 방향을 알려주는 나침반 기능과 특정 위치의 좌표를 기억시킬수도 있고, 그 위치들을 가지고 순서를 정해 방향을 알려주기도 하며, 실시간으로 계속 자신의 위치가 기억되게도 하는등의 편의성을 추가한 항법장치인 것입니다.
인공위성으로부터 전파를 수신받아야하는 장치이므로 하늘이 장애물에 의해 가려져 있지 않아야 하며 이왕이면 구름이 없는 맑은 하늘이 더 정확도가 올라 가겠죠?
특정위치의 정확도와 실시간 위치의 기억기능 때문에 대회의 증빙도구로 이용되어지는 것이며 방향을 일러주는 기능은 비행을 하는데 편의를 제공하는 부분에 지나지 않습니다.
궁금해 하시는 웨이포인트라는 것은 특정 위치를 뜻하는 것이며, MLR GPS에서는 이름을 붙여서 좌표를 500개 까지 기억시켜 놓을수 있습니다.
루트라는 것은 기억해 놓은 웨이포인트(원하는 특정위치)를 이용해 가고자 하는 순서를 정해 놓는 것을 뜻하며, 하나의 루트는 20개 이내의 웨이포인트를 이용해 구성할수 있고, 그러한 루트를 20개 까지 만들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우리가 서울, 부산, 대구라고 부르는 것은 어느 특정 지점을 부르는 이름임과 동시에 그곳의 위치를 뜻하는 것처럼 웨이포인트라는 것은 특정 위치를 말하는 것이며 GPS에서는 원하는 곳의 6자 이내인 영문자와 숫자로 구성된 이름과 좌표로써 기억해 놓을수 있습니다.
서울에서 부산을 가는데 대구를 거처서 갈것인가 대전을 거처서 갈것인가를 정해 놓는 것처럼 가고자 하는 목적지까지의 경유하게될 웨이포인트 순서에 따라 정해 놓는 것이 루트가 되는 것이며, 그렇게 해 놓으면 각 지점에 도달하게 되면 GPS가 자동으로 다음 웨이포인트의 방향과 거리를 알려주게 되어 이동을 하는데 편의성을 제공해 주게 되는 것입니다.
루트와 비슷한 기능으로 한번에 한지점의 웨이포인트만을 설정해 이용하는 GOTO 기능이 있습니다.
GPS를 대회에 이용할때에는 이륙장을 T(TAKE OFF), 착륙장을 L(LANDING), 특정지점을 P(POINT)등과 같은 영문자를 포함하는 숫자들과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웨이포인트를 사전에 GPS에 입력시켜 놓은뒤 대회 당일 날씨 상태에 따라 정해지는 경유지를 루트에 입력 시켜서 비행을 하게되면 자기가 가야할 다음 위치의 방향과 거리를 정확히 안내해 주게되어 모르는 곳이나 구름속에 들어가게 되더라도 항상 가야할 방향과 거리를 알수있게 도와주게 됩니다.
대회에 있어서의 GPS는 비행증거자료로써의 기능과 비행자를 위한 항법장치로써의 기능을 함께 해주는 장치가 됩니다.
대회에 원활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종 설정 항목들을 적합하도록 설정하여 비행을 잘해 놓고도 나쁜 결과가 되지 않도록 해야 하겠습니다.

대회에 필요한 일반적인 설정 항목을 나열해 보겠습니다.
=== 메뉴화면 항목 ===
LEVEL => LEVEL 3
USER SET UP => AREA OF USE => AUTOMATIC(에러 확률을 위해 korea보다는 auto를 권장)
USER SET UP => LOCAL TIME => +09 H 00 MIN
SYSTEM SET UP => MAP DATUM => WGS1984
SYSTEM SET UP => COORDINATE SYST => SELECT FROM LIST => UTM
UNITS => DISTANCE/SPEED => KM AND KMH
UNITS => ALTITUDE => METRE
UNITS => ARRIVAL ALARM => 0.35 KM

=== 플로터화면 항목 ===
MEMU => TRACK INTERVAL => 5 SEC

=== GOTO/DATA 화면 항목 ===
D? => COMPASS

빠진것이 있는지 모르겠지만 위와 같은 정도의 설정 사항들만 설정을 하시면 게임 비행에 필요한 정도가 되며 변경만 시키지 않는다면 한 번만 설정을 해 놓으시면 되고, 차후 대회에 참가 하시게 되면 대회전 다시한번 점검해 보시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이 외에 조작 방법을 알고 있어야 하는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웨이 포인트 입력 및 삭제방법
GOTO 활성/비활성 방법
루트 입력/삭제 및 활성/비활성 방법
시리얼포트 활성화방법(메뉴화면=>SERIAL PORT=>SERIAL PORT)
트랙로그 삭제방법(플로터화면=>MENU=>DELETE/RESET=>TRACK)

이상과 같은 정도면 비행에 GPS를 활용하시는데 문제가 없을 것입니다.
조작 방법을 외우기 위해서는 우선 전원을 켜서 나타나는 초기 화면을 제외하고 5 가지의 메인 화면이 순차적으로 페이지 버튼에 의해서 넘어간다는 것을 인식하고, 그 다섯가지의 메인 화면에서 하위 메뉴로 들어가는 구조라는 것을 인식하면 조작 방법을 외우는데 헷갈리지 않을 것입니다.
그리고 각각의 항목들은 연관성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웨이포인트 조작은 웨이포인트화면(GOTO)으로, 루트 조작은 루트화면으로, 트랙로그 조작은 트랙로그가 나타나는 플로터 화면으로 등과 같이 되어 있으므로 그 화면에서 다시 하위메뉴를 보면 미루어 짐작되는 메뉴가 있게 됩니다.
편집을 원하면 EDIT를, 활성화를 원하면 ACT를, 보기를 원하면 D(디스플레이)를, 배율 조정을 원하면 ZOOM(줌)을, 도움말을 원하면 HELP를 등과 같이 조금만 생각하면 굳이 외울 필요가 없는 연관성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부족하나마 저의 설명이 님의 GPS운용에 작은 보탬이 되었으면 합니다



'dsoh 취미 > g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gps사양및 비교  (0) 2006.10.05
MLR GPS 사용 설명서 다운로드..  (0) 2006.10.05
[GPS] 바리오+GPS 일체형 계기 Galileo  (0) 2006.07.01
GPS 이용하여 내위치 찾기  (0) 2006.05.27
GPS 기몬설정 (MLR)  (0) 2006.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