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봉돌의 용도
1) 부력 상쇄 2)잔존부력조정 3) 채비각도 조절
4) 채비 하강속도 증감 5) 급조류 극복등 입니다.
2. 봉돌 및 수중찌 중량비교
봉돌은 G봉돌, 전통봉돌 단위, B봉돌이 있는데 어신찌와 수중찌와 혼용 하면서 어려운 점이 있어서 쉽게 이해할수 있는 봉돌및 수중찌 중량 비교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인쇄해서 휴대하면 편리 할것 입니다.
회원님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표1.봉돌 및 수중 찌 중량비교표
좁쌀봉돌(GRAIN) |
봉돌(푼/호) |
B/일반봉돌 |
수중찌 | |||||
단위(G) |
무게(g) |
단위 |
무게(g) |
단위 |
무게(g) |
단위 |
수중무게 |
실 무게 |
7번(G7) |
0.09 |
|
|
|
|
|
|
|
6번(G6) |
0.12 |
|
|
|
|
|
|
|
5번(G5) |
0.16 |
|
|
|
|
|
|
|
4번(G4) |
0.20 |
|
|
|
|
|
|
|
3번(G3) |
0.25 |
|
|
|
|
|
|
|
2번(G2) |
0.31 |
|
|
|
|
|
|
|
1번(G1) |
0.40 |
1푼 |
0.375 |
B |
0.55 |
-B |
0.55 |
3.8 |
|
|
2푼 |
0.75 |
2B |
0.75 |
-2B |
0.75 |
4.0 |
|
|
3푼 |
1.12 |
3B |
0.95 |
-3B |
0.95 |
4.2 |
|
|
4푼 |
1.50 |
4B |
1.20 |
-4B |
1.20 |
4.5 |
|
|
|
|
5B |
1.85 |
-5B |
1.85 |
4.8 |
|
|
5푼 |
1.87 |
0.5호 |
1.87 |
-0.5호 |
1.87 |
4.9 |
|
|
6푼 |
2.25 |
0.6호 |
2.25 |
-0.6호 |
2.25 |
5.1 |
|
|
7푼 |
2.62 |
|
|
|
|
|
|
|
8푼 |
3.00 |
0.8호 |
3.00 |
-0.8호 |
3.00 |
5.3 |
|
|
9푼 |
3.37 |
|
|
|
|
|
|
|
1.0호 |
3.75 |
1.0호 |
3.75 |
-1.0호 |
3.75 |
5.7 |
|
|
1.5호 |
5.70 |
1.5호 |
5.62 |
-1.5호 |
5.62 |
8.4 |
|
|
2.0호 |
7.50 |
2.0호 |
7.50 |
-2.0호 |
7.50 |
11.0 |
|
|
3.0호 |
11.20 |
3.0호 |
11.25 |
-3.0호 |
11.25 |
14.6 |
|
|
|
|
|
|
|
|
|
|
|
|
|
|
|
|
|
|
3. 봉돌 중량비교 분석 결과
* B/일반봉돌과 어신찌 중량은 이론상으로는 동일하게 생각하면 됩니다.
- 어신찌의 재료와 부피에 따라 실 중량은 다르게 나타 납니다.
* 수중찌의 실 무게는 부피에 따라 차이가 날수 있습니다.
* 전통봉돌 단위(푼/호)는 일정한 비율로 변하는 산술 개념이나, B봉돌은 약속된 중량임을 알수 있다.
1.구멍찌 기능
구멍찌는 사용 용도에 따라 어신찌와 수중찌로 구분되는데, 어신찌는 눈으로 식별하는 어신기능과 흘려서 고기를 찾아내는 탐색기능의 목적으로 개발 되었으며 수중찌는 -부력을 가지고 있어 봉돌처럼 가라앉아 물속에서 조류의 흐름에 적절히 동조하여 자연적인 채비로 만들어 주는 찌이다.
우리들은 어신찌를 주로 구멍찌라고 부르고 있다.
2. 구멍찌 부력의 크기
구멍찌는 2호, 1.5호, 1호, 0.8호, 0.6호 0.5호까지는 호수를 부치고
5B, 4B, 3B, 2B, B, G2, 0, 00순으로 적어지는데, B는 0.55g, 2B는 B의 2배가 아닌 0.75g이고, 3B는 0.95g, 4B는 1.20g, 5B는 1.85g, 0.5호는 1.87g, 0.6호는 2.25g, 0.8호는 3.00g, 1.0호는 3.75g의 부력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구멍찌가 B이면 0.55g을 띄울 수 있는 부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00찌는 바닷물과 비중이 동일한 찌로 민물에 가라앉고, 해수에는 뜨는 찌를 말한다.
3.수중찌의 크기와 작용
수중찌는 -B, -2B, -3B,-4B, -5B, -0.5호, 0.6호, 0.8호, 1.0호 순이며 부력 크기는 구멍찌와 동일하나 수중으로 가라앉는 크기를 말한다.
만약 수중찌가 -B이면 0.55g의 가라앉는 무게를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수중찌는 특수 7대 기능이 있어, 봉돌처럼 가라앉는 역할 외에도 조류에 흐르기도 하고 조경지역에서 채비를 바로 잡기도 해서 자연스러운 채비 놀림에 도움을 준다.
4. 상황별 구멍찌의 부력 선택
구분 |
조류가 완만한 지역 |
조류가 다소 세게 흐르는 지역 | |||||
수 심 (3-5m) |
수 심 (6-9m) |
수 심 (10m전후) |
수 심 (3-5m) |
수 심 (6-9m) |
수 심 (10m전후) |
수 심 (10m이상) | |
어신찌 |
0-2B |
B-0.6호 |
3B-1호 |
3B-5B |
5B-1호 |
0.8-1.5호 |
1.0-2.0호 |
수중찌 |
-B-2B |
-B-0.6호 |
-3B-1호 |
-3B-5B |
-5B-1호 |
-0.8-1.5호 |
-1.0-2.0호 |
부피가 큰 수중찌 사용 |
봉돌 및 부피가 적은 수중찌 |
5. 구멍찌의 형태별 용도
어신찌의 형태에는 기본형, 도토리형, 슬림형, 하부 팽창형, 상부 팽창형, 둥근형등이 있는데 형태에 따라 용도를 구분하여 사용하면 편리하다.
초보자는 기본형이나, 도토리형을 주로 사용하고 중급자는 예민한 입질을 파악 하고저 할때는 감도가 좋은 슬림형을 사용해도 되지만, 슬림형은 원투성이 기본형보다 떨어진다.
하부 팽창형은 조류를 잘 타고 안정성이 있으나, 시인성이 떨어지며, 상부 팽창형은 시인성이나, 원투성은 좋으나, 감도가 떨어지고, 둥근형은 조류를 잘 타고 조경지역에서도 안정감이 있지만, 입수성이 떨어진다.
어신찌는 형태별 장단점을 파악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중찌는 부피가 크면 조류도 잘 타고 원투력이 좋으며, 부피가 적으면 원투력은 떨어지나, 입수가 빠르고 조류의 영향을 덜 받으므로 급 조류나, 깊은 수심공략에 유리 하다.
수중찌 0.8호이상이면 작은 크기를 권하고 싶으나, 악천후시나, 바람 부는 날에는 부피가 큰 수중찌를 권합니다.
겨울철에도 밑걸림을 줄이고, 원투를 하기위하여 부피가 큰 수중찌를 상황에 따라 사용하는 것이 최근의 추세입니다.
'dsoh 취미 > 이론2'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물장어낚시 요령과 미끼 잘무는 먹이 '땅강아지' (0) | 2006.10.11 |
---|---|
장어등 편대 바늘채비 종류 (0) | 2006.08.31 |
두바늘 z편대 (0) | 2006.08.31 |
생미끼바늘 보관함 (0) | 2006.08.31 |
장어통과 망태기 (0) | 2006.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