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ep Stall (깊은 실속)
깊은 실속의 다른 이름은 낙하산 실속 또는 “parachutage(불어, 프랑스 사람이 이 문제를 처음 언급 하였음)”이다. 이 경우에 캐노피는 뒤로 떨어지거나 갑작스런 실속 현상이 아니다. 모든 날개 부분이 공평하게 실속에 걸려 거의 직선 하강을 하는 상황이다. 이 상황에서 캐노피는 공평하게 안정적이다. 깊은 실속의 징조는 극적으로 침하율이 증가하거나 얼굴에 바람이 느껴지지 않게되는 경우이다. 조종줄의 압력이 사라져 버리지는 않는다. 하강하는 침하율은 초당 5미터 또는 시간당 18Km 이다. 만약 깊은 실속 상태로 땅에 추락한다면 최소한 1.3미터 이상에서 뛰어 내린것과 같은 양이다. PLF(낙하산 착지법)을 시행하여라.
깊은 실속의 문제는 하강율과 너무 늦을때까지 그 상황을 인식하지 못하는 능력 부족과 조종 부족이다. 이것이 지상 근처에서 충분한 비행 속도를 유지하라고 충고하는 이유이다. 다른 문제는 캐노피의 심각한 쏟아짐이다. 후자의 상황은 일반적으로 비행자가 조종줄을 움직이지 않음으로 인해 깊은 실속을 악화시키는 상황을 발생 시킬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의 글라이더는 비행자가 계속 만세하고 있는한 깊은 실속에서 회복된다.
이렇게 하는 것이 당신이 처음으로 해야할 반응이다. 만약 글라이더가 즉시 회복되지 않는다면 A 라이저를 빨리 앞으로 밀거나 약간 밑으로 당기는것을 시도하여라. 다른 일반적인 방법은 가속 장치를 밟는 것이다. 이 착안은 받음각을 줄이는 것이고 캐노피를 직진으로 움직이게 만들고 그래서 표면에 흐르는 공기흐름을 재구성하는 것이다.
깊은 실속은 조종줄을 너무 많이 천천히 당기거나 B 스톨 상태에서 너무 천천히 놓음으로서 또는 귀접기 상태로부터의 캐노피 회복의 부적절한 방법으로부터 발생한다.
현대 글라이더는 깊은 실속에 대항력이 있으므로 쉽게 깊은 실속을 볼 수는 없다. 그렇지만 비행자는 깊은 실속을 인식하고 없애는 방법에 잘 알고 있어야 한다. 캐노피가 오래되거나 날개의 기공 갯수가 많거나 라인이 늘어나거나 줄어들게되면 이러한 변화는 글라이더가 깊은 실속에 들어가게하는 경향이 있다.
[SAFETY CLINIC중에서] (비행기술.6 완전실속의 SAFETY CLINIC 재 게재)
DEEP STALL(깊은 실속), FULL STALL(완전 실속)
- 교육 의미 : 비행중 양쪽 브레이크의 과다한 사용으로 비행이 불가능한 상태에서의 회복.
- 조작 절차 : 양쪽 브레이크를 서서히 엉덩이 밑까지 당기고 있으면 캐노피가 앞으로 전진하지 못하고 양력이 급격하게 저하되어 캐노피가 아래로 떨어지기 시작한다.
이때 잡고 있던 브레이크를 미세하게 풀어 주면서 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DEEP STALL상태이다.
DEEP STALL상태에서 브레이크를 더욱 당기면 캐노피가 완전히 뒤로 떨어지면서 심하게 찌그러들고 곧이어 출렁거린 후 요동치며 추락을 하는 것이 FULL STALL상태이다.
기체가 실속에 들어가지 않을 땐 한번 말아 쥐고 다시 시작한다.
- 회복 요령 : DEEP STALL은 잡고 있는 브레이크를 곧바로 약간 풀어 주면 실속에서 벗어날 수 있다.
기체가 FULL STALL에 들어갔다면 양쪽의 브레이크를 동일한 양이 되게 유지를 하다가 2∼3초후 브레이크의 양쪽을 동일한 양으로 약간 풀어 준다.
이때 완전히 접혀 있는 캐노피를 중앙 부분은 펴 주어 안정을 시킨다.
중앙 부분은 안정이 되고 끝 쪽 부분만 펄럭이면 양쪽의 브레이크를 동시에 놓아준다.
브레이크를 놓아주면 캐노피는 앞으로 쏟아지면서 접힐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 하기 위하여 캐노피가 앞으로 쏟아져 나갈 때 이를 브레이크를 사용하여 견제를 하여준다.
- 어려운 경우 : 앞으로 쏟아져 접힐 경우 SIDE COLLAPSE, FRONT COLLAPSE편을 참조.
STALL중 브레이크를 잘 잡고 있어야 하며 어려운 경우 하네스에 손을 붙여서 잡는다.
STALL중 한쪽을 놓쳤을 경우 바로 다른 쪽의 브레이크도 놓아준다.
- 주의 사항 : 완전 실속에 들어갔을 경우 곧바로 브레이크를 놓으면 아주 심각한 위험에처할 수 있다.
브레이크는 양쪽을 동시에 놓아주어야 하며 SHOOTING에 대비하여 반드시 견제를 해준다.
깊은 실속의 다른 이름은 낙하산 실속 또는 “parachutage(불어, 프랑스 사람이 이 문제를 처음 언급 하였음)”이다. 이 경우에 캐노피는 뒤로 떨어지거나 갑작스런 실속 현상이 아니다. 모든 날개 부분이 공평하게 실속에 걸려 거의 직선 하강을 하는 상황이다. 이 상황에서 캐노피는 공평하게 안정적이다. 깊은 실속의 징조는 극적으로 침하율이 증가하거나 얼굴에 바람이 느껴지지 않게되는 경우이다. 조종줄의 압력이 사라져 버리지는 않는다. 하강하는 침하율은 초당 5미터 또는 시간당 18Km 이다. 만약 깊은 실속 상태로 땅에 추락한다면 최소한 1.3미터 이상에서 뛰어 내린것과 같은 양이다. PLF(낙하산 착지법)을 시행하여라.
깊은 실속의 문제는 하강율과 너무 늦을때까지 그 상황을 인식하지 못하는 능력 부족과 조종 부족이다. 이것이 지상 근처에서 충분한 비행 속도를 유지하라고 충고하는 이유이다. 다른 문제는 캐노피의 심각한 쏟아짐이다. 후자의 상황은 일반적으로 비행자가 조종줄을 움직이지 않음으로 인해 깊은 실속을 악화시키는 상황을 발생 시킬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의 글라이더는 비행자가 계속 만세하고 있는한 깊은 실속에서 회복된다.
이렇게 하는 것이 당신이 처음으로 해야할 반응이다. 만약 글라이더가 즉시 회복되지 않는다면 A 라이저를 빨리 앞으로 밀거나 약간 밑으로 당기는것을 시도하여라. 다른 일반적인 방법은 가속 장치를 밟는 것이다. 이 착안은 받음각을 줄이는 것이고 캐노피를 직진으로 움직이게 만들고 그래서 표면에 흐르는 공기흐름을 재구성하는 것이다.
깊은 실속은 조종줄을 너무 많이 천천히 당기거나 B 스톨 상태에서 너무 천천히 놓음으로서 또는 귀접기 상태로부터의 캐노피 회복의 부적절한 방법으로부터 발생한다.
현대 글라이더는 깊은 실속에 대항력이 있으므로 쉽게 깊은 실속을 볼 수는 없다. 그렇지만 비행자는 깊은 실속을 인식하고 없애는 방법에 잘 알고 있어야 한다. 캐노피가 오래되거나 날개의 기공 갯수가 많거나 라인이 늘어나거나 줄어들게되면 이러한 변화는 글라이더가 깊은 실속에 들어가게하는 경향이 있다.
[SAFETY CLINIC중에서] (비행기술.6 완전실속의 SAFETY CLINIC 재 게재)
DEEP STALL(깊은 실속), FULL STALL(완전 실속)
- 교육 의미 : 비행중 양쪽 브레이크의 과다한 사용으로 비행이 불가능한 상태에서의 회복.
- 조작 절차 : 양쪽 브레이크를 서서히 엉덩이 밑까지 당기고 있으면 캐노피가 앞으로 전진하지 못하고 양력이 급격하게 저하되어 캐노피가 아래로 떨어지기 시작한다.
이때 잡고 있던 브레이크를 미세하게 풀어 주면서 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DEEP STALL상태이다.
DEEP STALL상태에서 브레이크를 더욱 당기면 캐노피가 완전히 뒤로 떨어지면서 심하게 찌그러들고 곧이어 출렁거린 후 요동치며 추락을 하는 것이 FULL STALL상태이다.
기체가 실속에 들어가지 않을 땐 한번 말아 쥐고 다시 시작한다.
- 회복 요령 : DEEP STALL은 잡고 있는 브레이크를 곧바로 약간 풀어 주면 실속에서 벗어날 수 있다.
기체가 FULL STALL에 들어갔다면 양쪽의 브레이크를 동일한 양이 되게 유지를 하다가 2∼3초후 브레이크의 양쪽을 동일한 양으로 약간 풀어 준다.
이때 완전히 접혀 있는 캐노피를 중앙 부분은 펴 주어 안정을 시킨다.
중앙 부분은 안정이 되고 끝 쪽 부분만 펄럭이면 양쪽의 브레이크를 동시에 놓아준다.
브레이크를 놓아주면 캐노피는 앞으로 쏟아지면서 접힐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 하기 위하여 캐노피가 앞으로 쏟아져 나갈 때 이를 브레이크를 사용하여 견제를 하여준다.
- 어려운 경우 : 앞으로 쏟아져 접힐 경우 SIDE COLLAPSE, FRONT COLLAPSE편을 참조.
STALL중 브레이크를 잘 잡고 있어야 하며 어려운 경우 하네스에 손을 붙여서 잡는다.
STALL중 한쪽을 놓쳤을 경우 바로 다른 쪽의 브레이크도 놓아준다.
- 주의 사항 : 완전 실속에 들어갔을 경우 곧바로 브레이크를 놓으면 아주 심각한 위험에처할 수 있다.
브레이크는 양쪽을 동시에 놓아주어야 하며 SHOOTING에 대비하여 반드시 견제를 해준다.
'dsoh 취미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써멀에 관한 잘못된 생각 ◆ (0) | 2008.01.11 |
---|---|
페러글라이딩을 잘하기 위한 트레이닝 (0) | 2008.01.11 |
귀접기 (0) | 2008.01.11 |
회전(spin) (0) | 2008.01.11 |
날개 앞전 접힘 (0) | 2008.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