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체는 특별한 상황을 만들거나 필요한 비행기술을 거는 상황이 아니라면 늘 내 머리위에 위치해야 한다.
이것이 기준이다.
[핏칭(기체가 앞뒤로 흔들리는 현상)]
1. 기체가 앞으로 쏟아지면 조종줄을 당겨서 기체가 앞으로 나가는 것을 막아라.
이때는 두 조종줄을 동일하게 당겨주어야 한다.
중,상급으로 올라가면 기체가 동일하게만 앞으로 쏟아지는 것이 아니라 요잉현상(좌우로 흔들리면서)을 동반하면서 쏟아지는 경우도 많다.
이럴때는 감각으로 요잉현상에 대처하면서 좌,우 조종줄을 사용해야 하지만 대부분 초급기는 기체 전체가 같이 움직이는 안정된 피칭현상이 대부분이기에 두 조종줄을 동일하게 당겨주면 된다.
2. 기체가 뒤로 넘어가면 조종줄을 놔주면서 만세를 불러줘라..
대부분 만세는 말 그대로 만세를 불러주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이것도 기체가 쏟아질때 그 정도에 따라 적당한 견제를 해 주는것처럼, 만세 또한 무조건 이빠이~~ 만세가 아니라 기체의 상태를 봐 가면서 만세를 해주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중요한것은 늘 조종줄의 텐션을 내몸같이 느끼면서 비행을 해야 한다.
[요잉(기체가 좌우로 흔들리는 현상)]
1. 이것은 대부분 하네스의 조정이 잘못되었을 경우가 많다.
하네스의 가슴길이가 너무 꽉 조여지지 않았나 보고.. 가슴끈을 조금 느슨하게 해주면 안정된다.
단, 비행중에는 절대 조정하지 말라.
2. 그럴리야 없겠지만은 아주 드물게 조종줄을 임의 조정한 상태에서 올수도 있다.
조종줄의 길이가 딱!! 맞는지 다시한번 살펴볼 일이다.
3. 나무에 걸거나 또다른 이유로 산줄의 변형이 온 경우이다.
이 경우에도 전문업체에 맞겨서 점검을 받아야 한다.
중요한 것은 기체가 조금이라도 이상하게 느껴진다면 점검을 받는것이 좋다.
이것이 기준이다.
[핏칭(기체가 앞뒤로 흔들리는 현상)]
1. 기체가 앞으로 쏟아지면 조종줄을 당겨서 기체가 앞으로 나가는 것을 막아라.
이때는 두 조종줄을 동일하게 당겨주어야 한다.
중,상급으로 올라가면 기체가 동일하게만 앞으로 쏟아지는 것이 아니라 요잉현상(좌우로 흔들리면서)을 동반하면서 쏟아지는 경우도 많다.
이럴때는 감각으로 요잉현상에 대처하면서 좌,우 조종줄을 사용해야 하지만 대부분 초급기는 기체 전체가 같이 움직이는 안정된 피칭현상이 대부분이기에 두 조종줄을 동일하게 당겨주면 된다.
2. 기체가 뒤로 넘어가면 조종줄을 놔주면서 만세를 불러줘라..
대부분 만세는 말 그대로 만세를 불러주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이것도 기체가 쏟아질때 그 정도에 따라 적당한 견제를 해 주는것처럼, 만세 또한 무조건 이빠이~~ 만세가 아니라 기체의 상태를 봐 가면서 만세를 해주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중요한것은 늘 조종줄의 텐션을 내몸같이 느끼면서 비행을 해야 한다.
[요잉(기체가 좌우로 흔들리는 현상)]
1. 이것은 대부분 하네스의 조정이 잘못되었을 경우가 많다.
하네스의 가슴길이가 너무 꽉 조여지지 않았나 보고.. 가슴끈을 조금 느슨하게 해주면 안정된다.
단, 비행중에는 절대 조정하지 말라.
2. 그럴리야 없겠지만은 아주 드물게 조종줄을 임의 조정한 상태에서 올수도 있다.
조종줄의 길이가 딱!! 맞는지 다시한번 살펴볼 일이다.
3. 나무에 걸거나 또다른 이유로 산줄의 변형이 온 경우이다.
이 경우에도 전문업체에 맞겨서 점검을 받아야 한다.
중요한 것은 기체가 조금이라도 이상하게 느껴진다면 점검을 받는것이 좋다.
'dsoh 취미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상적인 비행자세 (0) | 2008.01.11 |
---|---|
날개불안정의 여러요소와 대처법 (0) | 2008.01.11 |
풍향 파악법 (0) | 2008.01.11 |
이수열님의 열에 대한 이론 (0) | 2008.01.11 |
GAP 채점 방식 통계 결과 의미 해설 (0) | 2007.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