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
(1) 바람경사
따라서 지면이 거칠거나 장애물이 많은 곳일수록 마찰저항이 크게 나타나므로 바람경사, 즉 고도에 따른 풍속의 차이가 크게 나타난다. 언제 어디서든 바람이 부는 상황에서는 바람 경사가 존재한다. 대부분 기울기가 큰 바람경사는 지상 30m고도 이하에서 주로 발생되며, 심한 바람경사의 경우 착륙접근 중에 실속으로 이어지는 수가 있다.
(2) 국지풍
우리나라 계절풍은 겨울에 북서 계절풍, 여름에 남동계절풍으로 크게 나뉜다. 국지풍은 낮과 밤을 주기로하여 변하는 것으로서 해륙풍과 산곡풍이 있다. 해륙풍은 낮에 바다에서 바다바람(해풍)이 불고 밤에는 반대로 육지에서 바다로 내륙풍이 부는 것을 말한다. 산곡풍은 내륙지방에서 낮에 골짜기에서 산으로 불어 올라가는 골바람(곡풍)과 밤에 산에서 골짜기로 불어 내리는 산바람(산풍)을 말한다. 그러므로 낮에 산악지역을 비행할 때는 가급적 계곡이 아닌 능선을 따라 비행하면 상승 기류를 이용 할 수 있으므로 유리하고 해가 진후 저녁에 비행 할 때는 반대로 계곡 한가운데를 통과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
(3) 난류
비행에서 조심해야 할 것 중에 한 가지가 난류(turbulence)이다. 난류는 기계적 난류, 열적난류, 전단난류, 인공난류, 산악파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하고 흔히 만나게 되는 기계적 난류이다. 기계적 난류는 바람이 지상의 물체나 산 같은 각종 지형지물을 지날 때 그 물체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불규칙한 흐름을 말한다. 이러한 난류를 파악하는 간단한 예를 들면 초속 5m의 바람이 불 때 10m 높이의 건물 뒷편에 생기는 와류지역의 길이는 5×10 = 50m 이다. 따라서 그 건물 뒤쪽으로 50m 이내로 접근하면 난류(와류) 의 영향을 받게 되고 그 이상 떨어지면 안전하다고 할 수 있다.
(1) 바람경사
따라서 지면이 거칠거나 장애물이 많은 곳일수록 마찰저항이 크게 나타나므로 바람경사, 즉 고도에 따른 풍속의 차이가 크게 나타난다. 언제 어디서든 바람이 부는 상황에서는 바람 경사가 존재한다. 대부분 기울기가 큰 바람경사는 지상 30m고도 이하에서 주로 발생되며, 심한 바람경사의 경우 착륙접근 중에 실속으로 이어지는 수가 있다.
(2) 국지풍
우리나라 계절풍은 겨울에 북서 계절풍, 여름에 남동계절풍으로 크게 나뉜다. 국지풍은 낮과 밤을 주기로하여 변하는 것으로서 해륙풍과 산곡풍이 있다. 해륙풍은 낮에 바다에서 바다바람(해풍)이 불고 밤에는 반대로 육지에서 바다로 내륙풍이 부는 것을 말한다. 산곡풍은 내륙지방에서 낮에 골짜기에서 산으로 불어 올라가는 골바람(곡풍)과 밤에 산에서 골짜기로 불어 내리는 산바람(산풍)을 말한다. 그러므로 낮에 산악지역을 비행할 때는 가급적 계곡이 아닌 능선을 따라 비행하면 상승 기류를 이용 할 수 있으므로 유리하고 해가 진후 저녁에 비행 할 때는 반대로 계곡 한가운데를 통과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
(3) 난류
비행에서 조심해야 할 것 중에 한 가지가 난류(turbulence)이다. 난류는 기계적 난류, 열적난류, 전단난류, 인공난류, 산악파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하고 흔히 만나게 되는 기계적 난류이다. 기계적 난류는 바람이 지상의 물체나 산 같은 각종 지형지물을 지날 때 그 물체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불규칙한 흐름을 말한다. 이러한 난류를 파악하는 간단한 예를 들면 초속 5m의 바람이 불 때 10m 높이의 건물 뒷편에 생기는 와류지역의 길이는 5×10 = 50m 이다. 따라서 그 건물 뒤쪽으로 50m 이내로 접근하면 난류(와류) 의 영향을 받게 되고 그 이상 떨어지면 안전하다고 할 수 있다.
출처 : 비공개
글쓴이 : 익명회원 원글보기
메모 :
'dsoh 취미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비상 착륙 및 보조 낙하산 이용 (0) | 2006.02.17 |
---|---|
[스크랩] 캐노피 진동 (0) | 2006.02.17 |
[스크랩] 구름 (0) | 2006.02.17 |
[스크랩] 기상 판단 (0) | 2006.02.17 |
[스크랩] 비행 계획 (0) | 2006.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