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oh 취미/이론
써멀 잡는 방법
air fly 500
2006. 10. 5. 21:50
써멀 힛트(만남)과 잡는 방법 (Thermal Hit)
써멀서치(상승기류탐색)는 가급적 안정된 직선비행으로 합니다.
이 상태에서 써멀의 상승이 패러글라이더의 날개끝에 부딪히면
그 날개끝이 들어올려져서 기웃등 하고 기울어짐으로 조종자는
써멀힛트한 것을 몸으로 느낄 수가 있습니다.
만일 이때 조종자가 뱅크를 수반한 지그재그비행을 하고 있으면
써멀힛트에 의한 날개의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가 없습니다.
날개끝이 올라가고 써멀힛트를 감지하게 되면 지체없이 상승풍으로
들어올려진 쪽날개끝을 누르도록 급선회를 해서 보다 강한 써멀이
존재하는 써멀코아를 찾아들어가야 합니다.
만일 조금이라도 늦으면 패러글라이더는 써멀외측으로 밀려나가게
됩니다. 초심자가 가장 빠지기 쉬운 잘못은 흔들림을 느끼고나서
바리오미터로 상승풍속에 들어간 것을 확인하고 나서야 써멀센터링
(써멀코아를 향한 선회비행)을 시작하는 것입니다.
이때 바리오미터가 상승을 표시할때까지는 시간차가 있으므로 바리오미터로 확인한 시점에서는 실제의 상승기류로부터 멀리 떨어져 버립니다.
날개의 흔들림이 반드시 써멀힛트라고만은 할수 없고 사실은 하강기류나 난기류에 걸렸는지도 모릅니다.
그래도 우선은 써멀의 바깥쪽에 들어갔다고 낙관적으로 생각하고 재빨리 센터링을 위한 선회를 해야합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써멀을 힛트하는 것은 거의 다 확률의 문제인 것입니다. 이 선회는 조종자가 선회내측으로의 과감한 체중이동과 미세한 조작을 구사해야 함으로 어느정도 숙련이 필요합니다.
선회를 개시하고 몇초안에 바리오미터가 상승에 들어 갔는지 아니면 써멀을 벗어나서 하강에 들어 갔는지를 표시할 것입니다.
상승에 들어 갔을때는 더 강한 리프트 포인트로 선회하면서 이동해 갑니다. 만일, 써멀로부터 이탈해서 하강에 들어갔더라도 조종자가 그대로 급선회를 계속하고 있으면 360도 선회후에 패러글라이더는 재차 처음 리프트 근처에 돌아오게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