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oh 취미/이론
B스톨 & 오메가
air fly 500
2006. 10. 5. 21:40
[ B스톨 & 오메가 ]
지상 리버스 연습시 바람이 강하여 끌려갈때 종종 B라이져를 잡곤한다.
B라이져 산줄고리를 잡게되면 기체의 허리가 꺽여 바람의 저항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만약 여기서 브레이크라인을 잡은상태에서 B라이져를 잡게되면 효과가 반감된다. 즉, B라인과 기체의 뒷전을 당기게되어 이사이에 저항이 걸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지상연습에서의 순간동작을 취할때는 반드시 브레이크라인은 놓고 B라이져만 잡는것이 필요하다.
비행중에 B스톨은 귀접기와 마찬가지로 다이브(침하)효과를 유도한다. 기체특성에 따라 다소차이는 있으나 대게 하중의 많은 부분이 B라인에 걸리게된다. 따라서 B라인의 압은 다른산줄에 비해 강하다고볼수 있다. 정상적으로 비행하는 기체를 허리를 꺽게되면 전진력은 상실되고 수직침하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바람이 강하여 의도하지 않게 계속적인 상승이 이루어질때 B스톨을 통하여 침하를 유도한다.
B라인의 압이 크므로 B스톨은 쉽게 걸리지 않는다. 특히 라이져의 특성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는데 이를테면 라이져가 길고 웨이빙이 부드러운것 이라면 보다 쉬울수있고 반대로 라이져가 짧고 웨이빙이 보다 딱딱하다면 어려울수 잇다. 또 기체의 코드(앞전과 뒷전의 길이)가 짧다면 더욱 어려울수 있다. 또 기체를 무겁게 탄다면 가볍게 탈때보다 B스톨이 어려울수 있고 바람의 강도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을수 있다.
비행중의 B스톨은 브레이크라인을 잡은 상태에서 상체를 일으켜 세워 B라이져 산줄고리를 잡고 전체체중을 실어주어야한다. 이렇게 하더라도 금방 B스톨이 걸리는 것은 아니며 대개 약간의 시간이 필요하며 서서히 압을 가하면서 B스톨이 걸리게되면 뚝하고 기체가 꺽이는 느낌이 들면서 처음보다 손의 압이 줄어들게된다.
이기술은 대게 바람이 강한날 빨리 고도를 떨어뜨리기위하여 많이 이용하는 기술로 경우에 따라서 B스톨이 처음 이루어질때 정상적인 상태보다 뒤로 밀리는 비율이 높아진다. 그것은 침하율은 좋지만 전진력이 상실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귀접기와 마찬가지로 벤츄리의 영향력안 즉, 바람이 강한날 능선부 에서의 B스톨은 뒤로 밀릴 확율이 크다고 볼수 있다. 그러므로 일정 전진후에 다소의 밀림을 계산하여 기술을 거는것이 필요할것이다.
B스톨을 한꺼번에 오랫동안 가하는것은 좋지 않다고 한다. 따라서 많은 침하가 필요할 경우에도 일정 침하 후 항력을 회복시켰다가 다시 반복하는것이 필요할것 같다.
B스톨을 회복코자할때에도 한꺼번에 풀지 말고 서서히 푸는것이 필요하며 완전히 놓았다 하더라도 즉시 회복되는것은 아니며 약간의 시간이 걸린다. 실제 고급기체 운용자들은 B스톨을 잘걸지 않는다. 고도침하가 필요하면 대게 스파이럴로 처리하는 것이 가장확실하기도 하지만 고급기체는 기체의 앞전과 뒷전의 길이 즉 코드의 길이가 짧아 B스톨이 여의치 않을수도 있으며 또 B스톨은 기체의 피로도를 가중시켜 변형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B스톨도 마찬가지로 정풍방향에서 적절한 바람이 있을때 해볼것을 권유한다.
[오메가]
오메가는 비행기술이라기 보다 아크로바틱 즉, 비행묘기로보는것이 맞을것 같으며 여기서는 참고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오메가는 달리 말굽쇠라고도 하는데 순전히 우리네 표현으로서 모양자체가 U자형에 가까운 오메가 모양을 갖거나 말굽쇠 모양과 비슷하다는 데서 붙인 이름으로 보인다. 이 기술은 양손을 쭉뻗어올려 A라이져 맨 안쪽 산줄 한줄을 양쪽 똑같이 잡아 가운데로 동시에 꺽어내린다. 아니면 한손으로 양쪽한줄을 동시에 모아잡아 한번 꺽어내리고 다시 한손으로 그위를 잡아 또다시 꺽어내린다. 이렇게하면 기체한가운데가 U자형의 아랫부분을 만들게되고 자연히 양쪽날개가 수직부분을 양쪽팁이 수평에가깝에 모양을 만들어 전체적으로 오메가형태를 갖게된다.
오메가는 B스톨과 마찬가지로 침하효과가 크게 나타난다. 그러나 캐노피형태를 가장 많이 변형시키므로 안정성은 떨어진다고 보는것이 맞을것이다. 또 기술을 걸때 일시에 걸지않고 당기면서 우물쭈물하게 되면 캐노피 붕괴의 원인이 되기도한다. 또 익형에 따라서 오메가를 했을때 오메가 형태가 아니라 양쪽날개가 앞쪽으로모이는 현상도 나타난다. 이 기술은 주로 비행자의 과시성이거나 묘기차원에서 행하여지며 기체제작 또는 테스트시에는 전혀 고려되지 않은 사항으로 참고로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