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oh 취미/이론
알기쉬운 페러글라이딩 용어
air fly 500
2006. 2. 28. 14:38
가로세로비(Aspect Ratio) : 날개의 스팬(Span)과 코드의 비율, 스팬의 제곱을 날개의 면적으로 나누어구함 | |||||||
가스트(Gust) : 불규칙하고 단속적인 바람. 돌풍 | |||||||
고도기록 : 1975년 미국의 스티브 호디손이 대형의 카이트로 7500m까지 상승했다. 이것이 그 시점에서의 최고의 고도 기록으로 되어있다. 참조-세계패러글라이딩 기록들 | |||||||
고도계(Altimeter) : 현재의 고도를 나타내는 계기 | |||||||
공기역학(Aero-Dynamics) : 공기에 대한 상대적 운동에 의하여 물체를 중심으로 변화하는 힘에 관한 학문 | |||||||
구조낙하산(Rescue Parachute) : 패러글라이더가 공중에서 기능을 상실하는 등의 비상 상황시 안전하게 하강하기 위한 비상장비. 비상낙하산(Emergency Parachute)이라고도 함. | |||||||
그라운드 핸들링(Ground handling) : 패러글라이더의 지상에서의 취급 법. | |||||||
기류 : 수평적인 공기의 흐름을 바람이라 하는데 반하여 수직적 성분을 가진 공기의 흐름을 말한다. | |||||||
기체의 점검 : 안전 확보상 무엇보다도 우선적으로 기체의 점검을 충분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행 전에는 기체에 손상이 없나 라인이 엉킨 곳이 없나. 하네스의 연결장치는 안전한가 등 세세한 부분까지 점검한다. 비행 후는 파손된 곳을 조사하거나 모래나 먼지, 나무조각등을 깨끗이 닦아 낸다. 또 정기적으로 기체를 손질하여 한다. 안전 제일이 파일럿의 기본적인 자세라 하겠다. | |||||||
난류(Turbulence) : 공기의 불규칙한 움직임으로 비행 에 영향을준다. | |||||||
날개꼴(Airfoil) : 공기속을 뚫고 움직일 때 양력을 발생시키는 날개의 단면 형태 | |||||||
노즈(Nose) : 항공기의 머리부분, 코, 기수라고도 함. 패러글라이더의 경우 앞전의 가운데 부분을 말함 | |||||||
다이브(Dive) : 급강하, 작은 받음각으로 빠른 속도를 내면서 강하하는 것. | |||||||
대기속도(Air Speed) : 날개와 공기와의 상관속도로서 속도계를 통해 나타나는 속도. 절대속도라고도 함. | |||||||
대지속도(Fround Speed) : 날개의 지면과의 상관속도로서 바람이 있을 경우 대기속도와 다르게 나타난다. 상대속도라고도 함. | |||||||
뒷전(Tailing Edge) : 날개의 뒷부분 | |||||||
라이저(Riser) : 산줄과 하네스 사이의 끈으로서 보통 앞, 뒤 두줄 또는 네줄로 되어있다. | |||||||
로그북(Log Book) : 비행일지 | |||||||
롤링(Rolling) : 종축을 중심으로 한 날개의 옆놀이 운동 | |||||||
리딩에지(Leading Edge) : 날개의 앞전 | |||||||
리프트(Lift) : 양력, 날개가 뜨는 힘 | |||||||
L/D(Lift/Drag) : 양항비, 활공비, 양력대 항력의 비율로서 활공기의 기본적 활공성능을 나타낸다. | |||||||
무게중심(Center of Gravity : CG) : 조종사의 무게가 대표적으로 걸리는 센터코드의 점 | |||||||
밑면(Under Surface) : 날개의 아랫면 | |||||||
바리오미터(Variometer) : 승강계, 날개의 상승 및 하강시 그 시간당 비율을 알려준다. | |||||||
바람경사(Wind Gradient) : 고도에 따라 풍속이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 일반적으로 지면 가까이로 갈수록 풍속이 약해진다. | |||||||
받음각(Angle of Attack) : 날개의 중심선에 대한 상대풍의 입사각. 즉 날개가 바람을 받는 각. 영각이라고도 한다. | |||||||
배풍(Tail WInd) : 뒷바람 | |||||||
뱅크각(Bank Angle) : 롤링에 의해 날개가 수평에 대해 기울어진 경사각 | |||||||
붕괴(Collapse) : 캐노피 내부의 공기압력이 떨어져 날개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접히는 현상 | |||||||
상대풍(Relative Wind) : 날개가 전진함에 따라 상대적인 바람. 따라서 항상 날개의 전진방향의 반대 방향이 상대풍 경로이다. | |||||||
서스펜션 라인(Suspension Line) : 산줄 | |||||||
선회(Turn) : 회전, 롤링에 뒤이은 연속적인 요잉 현상 | |||||||
써멀(Thermal) : 상승력을 가진 따뜻한 공기 덩어리, 열기류 | |||||||
세퍼레이터(Seperator) : 캐노피의 윗면과 밑면을 연결하여 공기방을 이루는 수직구조 | |||||||
쎌(Cell) : 공기방의 단위 | |||||||
소어링(Soaring) : 상승기류를 이용하여 체공하거나 고도를 획득하는 비행 | |||||||
속도계(Air Speedmeter) : 날개의 속도를 나타내는 계기 | |||||||
수직안정판(Stablizer) : 좌우 날개끝에 붙어 있는 수직 구조로서 비행기의 수직꼬리 날개와 같이 직진성을 주고 익단와류를 막아준다. | |||||||
스팬(Span) : 비행기의 한쪽 날개 끝에서 다른 쪽의 날개 끝까지의 길이를 말한다. | |||||||
스핀(Spin) : 나선형 강하 | |||||||
스폿 랜딩(Spot landing) : 착륙 목표 지점을 말한다. 경기 대회에서는 체공 시간을 겨루는 것 이외에 목표지점으로의 착륙 정도를 겨루는 경기 방법도 있다. 목표 지점은 반지름 50m의 원속에 반지름 25, 15.5m의 원이 그려지는 경우가 많고 이것이 표준으로 되어 있다. 착륙 지점이 중심부에 가까우면 득점도 높아진다. | |||||||
CIVL(Commission International de Vol Libre) : 국제 행글라이딩 위원회의 약칭.FAI 의 산하기구 | |||||||
스톨,실속(Stall) : 최소속도이하가 되어 양력이 감소되어 저항이 증가하고, 스피드를 상실하여 날개의 기능을 상실하는 일시적인 현상 | |||||||
실속속도(Stall Speed) : 실속이 일어나는 때의 속도 | |||||||
안정성(Stability) : 균형이 깨졌을 때 수평 직성 비행 상태로 되돌아 가려는 경향 | |||||||
앞전(Leading Edge) : 날개의 낲부분. | |||||||
양력(Lift) : 베르누이의 정리에 의해 날개가 공중에 뜨도록 하는 힘 | |||||||
양항비(Lift/Drag ratio) : 양력 대 항력의 비율 | |||||||
에어포일(Airfoil) : 날개꼴 | |||||||
요잉(Yawing) : 수칙축을 중심으로 한 날개의 수평 회전 운동 | |||||||
와류(Rotor) : 소용돌이의 흐름 | |||||||
윈드색(Windsock) : 바람주머니, 풍향계 | |||||||
윙팁(Wingtip) : 익단, 날개끝 | |||||||
윗면(Upper Surface) :날개의 윗부분 | |||||||
익단와류(Wingtip Vortex) : 날개끝에서 발생하여 날개 윗부분으로 흐르는 소용돌이 흐름 | |||||||
익면하중(Wing Loading) : 하중대 익면적의 비. 조종사와 기체 무게를 날개면적으로 나누어 구한다. | |||||||
자세(Attitude) : 수평을 기준으로 노즈가 올라가고 내려간 양 | |||||||
저항(Drag) : 항력. 날개가 전진함에 따라 반대 방양으로 작용하는 힘 | |||||||
적운(Cumulus) : 써멀에 의해 발생되는 뭉게구름 | |||||||
진로권(Right of Way) : 공중충돌을 방지키 위해 수립된 비행 진로 우선권 | |||||||
최대 활공 속도(Best Glide Speed) : 최대 활공비가 나타나는 속도 | |||||||
최소 침하 속도(Min. Sink Speed) : 침하율이 최소가 되는 속도 | |||||||
층운(stratus) : 넓게 퍼진 형태의 구름 | |||||||
침하율(Sink Rate) : 단위 시간당 수직 속도 | |||||||
카라비나(Carabiner) : 라이저와 하네스를 연결하는 고리 | |||||||
캐노피(Canopy) : 패러글라이더의 날개 부분 | |||||||
캠버(Camber) : 날개꼴의 윗부분의 굴곡진 양 | |||||||
코드(Chord) : 날개의 앞에서 뒤까지의 시위 길이 | |||||||
크래빙(Crabbing) : 측풍 구간에서 정면으로 나아가기 위한 게걸음 비행 | |||||||
통기구(Cross Port) : 캐노피내 공기방 사이의 통기를 위해 뚫어놓은 세퍼레이터의 구멍 | |||||||
패러슈트(Parachute) : 낙하산 풍속계(Windmeter) :풍속을 측정하는 계기 | |||||||
피칭(Pitching) : 횡축을 중심으로 한 날개의 회전 운동 | |||||||
FAI(Federation Aeronautique Internationale) : 국제항공연맹의 약칭 | |||||||
하네스(Harness) : 조종사를 지지하여 글라이더에 고정시켜 주는 장치 | |||||||
항력(Drag) : 저항 | |||||||
활공(Gliding) : 위치에너지를 이용하여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날아가는 무동력 비행 | |||||||
활공기(Glider) :무동력 중 항공기 | |||||||
활공각(Glide Angle) : 수평선과 활공 경로가 이루는 각 | |||||||
활공비(Glide Ratio) : 활공기의 침하 고도에 대한 전진 거리의 비율. 활공기 성능의 주요한 척도로서 무풍상태에서 항공기의 양항비(L/D) 와 같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