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oh 취미/이론
바람이 와 불어 오는 걸까??
air fly 500
2006. 2. 28. 14:11
1:바람이란 무엇인가?
공기의 일부가 지표면에서 따뜻해지면 가벼워 져서 상승하게 되고
상공에서 공기는 온도가 내려가면서 무거워져서 다시 지표면으로 내려오게 된다.
이와같이 온도의 변화에 따라 기압이 변함으로서 대류현상이 나타나며,
이때의 공기의 움직임을 바람이라고 한다.
* 해풍 :
낮에는 고체인 육지가 액체인 바다보다 빨리 데워지므로
그 위의 공기도 빨리 데워져서 위로 상승하게 되고
그 빈자리에 바다의 찬 공기가 흘러드는 것
* 육풍 :
밤이 되면 빨리 차가워진 육지의 공기가 천천히 식는 바다 쪽으로 이동하는 것.
* 계절풍 :
공기의 대류중에 규모가 크고 계절에 따라 방향이 바뀌며 일어나는 바람을 말하며
해풍과 육풍이 생기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그래서 여름에는 바다에서 온도가 높고 습기가 많은 바람이 불어오지만
온도차가 적기 때문에 바람이 약하다.
겨울에는 온도차가 많기 때문에 강하고 습기가 적은 바람이 분다.
(대륙과 바다의 온도차는 겨울에 많고 여름에 적다.
이유는 일조량이 작은 겨울에는 바다가 데워지기 어려워서....)
※ 기타 상공의 바람(기구 자전으로 인한 대기의 순환)
①편동풍: 극지방에서 부터 위도 60도 부근으로 부는 바람
②제트류
③편서풍: 위도 30도부근에서 위도 60도부근으로 부는 바람
④무역풍: 위도 30도부근에서 부터 적도로 향하여 부는 바람이며
북반구에서는 북동 무역풍, 남반구에서는 남동무역풍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기단*
1:시베리아기단: 대륙성 한대 기단으로 겨울에 북쪽에서 오는 차가운 북서계절풍
(아시아 대륙과 북아메리카 대륙의 동부 지방에서 겨울철에 부는 계절풍.
북서쪽의 대륙 내부에서 생긴 대륙성 고기압에서 불어 오는 바람으로 매서운
추위를 몰고 옴)을 따라 우리나라에 오며, 몹시 차고 건조하다.
2:오호츠크 해 기단: 해양성 한대 기단으로 대개 장마철에 오호츠크해상에서 발생하며
우리나라에 차고 습한 공기를 보낸다.
3:북태평양기단: 해양성 열대기단으로 여름에 남동계절풍에 따라 태평양 방면에서
우리나라 방면으로 확장되어 오며 고온다습하다.
이 기단권안에 들면 무더위가 계속되고 가뭄이 일어난다.
4:양쯔강 기단: 대륙성 열대기단으로 따뜻하고 건조. 주로 봄과가을에 이동성 고기압
(비교적 빠른 속도로 이동해 가는 고기압. 우리 나라 부근의 중위도 지방에서는
매시 40∼50km의 속도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해 가며, 풍속은 매초 5∼6m
이하이고, 이동성 고기압의 중심부에서는 대체로 맑은 날씨가 됨)을
타고 양쯔강방면에서 온다.
5:적도기단: 해양성적도기단으로 덥고 습하다.
태풍이 발생할 무렵인 7~8월에 태풍과 함께 우리나라에 온다.
*푄현상(높새바람)이란?*
푄이란 산을 넘어 불어내리는 따뜻하고 건조한 바람으로
우리나라의 영서지방에 부는 건조하로 더운 바람을 말한다.
원인은 오츠크해 고기압이 늦은 봄에서 초여름에 걸쳐 확장하면서
우리나라에 북동풍을 몰고오기 때문이다.
공기의 일부가 지표면에서 따뜻해지면 가벼워 져서 상승하게 되고
상공에서 공기는 온도가 내려가면서 무거워져서 다시 지표면으로 내려오게 된다.
이와같이 온도의 변화에 따라 기압이 변함으로서 대류현상이 나타나며,
이때의 공기의 움직임을 바람이라고 한다.

* 해풍 :
낮에는 고체인 육지가 액체인 바다보다 빨리 데워지므로
그 위의 공기도 빨리 데워져서 위로 상승하게 되고
그 빈자리에 바다의 찬 공기가 흘러드는 것

* 육풍 :
밤이 되면 빨리 차가워진 육지의 공기가 천천히 식는 바다 쪽으로 이동하는 것.

* 계절풍 :
공기의 대류중에 규모가 크고 계절에 따라 방향이 바뀌며 일어나는 바람을 말하며
해풍과 육풍이 생기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그래서 여름에는 바다에서 온도가 높고 습기가 많은 바람이 불어오지만
온도차가 적기 때문에 바람이 약하다.
겨울에는 온도차가 많기 때문에 강하고 습기가 적은 바람이 분다.
(대륙과 바다의 온도차는 겨울에 많고 여름에 적다.
이유는 일조량이 작은 겨울에는 바다가 데워지기 어려워서....)

※ 기타 상공의 바람(기구 자전으로 인한 대기의 순환)
①편동풍: 극지방에서 부터 위도 60도 부근으로 부는 바람
②제트류
③편서풍: 위도 30도부근에서 위도 60도부근으로 부는 바람
④무역풍: 위도 30도부근에서 부터 적도로 향하여 부는 바람이며
북반구에서는 북동 무역풍, 남반구에서는 남동무역풍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기단*
1:시베리아기단: 대륙성 한대 기단으로 겨울에 북쪽에서 오는 차가운 북서계절풍
(아시아 대륙과 북아메리카 대륙의 동부 지방에서 겨울철에 부는 계절풍.
북서쪽의 대륙 내부에서 생긴 대륙성 고기압에서 불어 오는 바람으로 매서운
추위를 몰고 옴)을 따라 우리나라에 오며, 몹시 차고 건조하다.
2:오호츠크 해 기단: 해양성 한대 기단으로 대개 장마철에 오호츠크해상에서 발생하며
우리나라에 차고 습한 공기를 보낸다.
3:북태평양기단: 해양성 열대기단으로 여름에 남동계절풍에 따라 태평양 방면에서
우리나라 방면으로 확장되어 오며 고온다습하다.
이 기단권안에 들면 무더위가 계속되고 가뭄이 일어난다.
4:양쯔강 기단: 대륙성 열대기단으로 따뜻하고 건조. 주로 봄과가을에 이동성 고기압
(비교적 빠른 속도로 이동해 가는 고기압. 우리 나라 부근의 중위도 지방에서는
매시 40∼50km의 속도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해 가며, 풍속은 매초 5∼6m
이하이고, 이동성 고기압의 중심부에서는 대체로 맑은 날씨가 됨)을
타고 양쯔강방면에서 온다.
5:적도기단: 해양성적도기단으로 덥고 습하다.
태풍이 발생할 무렵인 7~8월에 태풍과 함께 우리나라에 온다.

*푄현상(높새바람)이란?*
푄이란 산을 넘어 불어내리는 따뜻하고 건조한 바람으로
우리나라의 영서지방에 부는 건조하로 더운 바람을 말한다.
원인은 오츠크해 고기압이 늦은 봄에서 초여름에 걸쳐 확장하면서
우리나라에 북동풍을 몰고오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