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oh 취미/이론

Thermal Flying 번역본

air fly 500 2008. 1. 11. 11:44

*써멀비행, (다니엘 어쩌구란 사람이 얘기것은 영한 번역기로 번역한것임)

써멀비행은 모든 파일럿트들의 바램 입니다. 우리는 이 기술을 할 수 있음에 감사해야 합니다. 한마디로, 우리의 지평을 확장하며 자유비행의 진정한 의미를 발견하는 시작 입니다. 어떤 파일럿트들은 이런 활동적인 비행에 관련된 (기류의) 거칠음을 걱정합니다. 실제로, 우리는 높이 나는 기쁨에 대한 비용을 감수해야 합니다.
써멀비행은 계속적인 공기의 움직임과 불안정을 수반 합니다. 그리고 그것은 우리가 하늘에서 상승하는 움직임에 있어 분명히 존재 합니다. 우리는 그것들을 어떻게 처리하느냐를 배우면서 우리의 즐거움과 이익을 향해 비행을 할 수 있습니다.

 

1.자세,
하네스에 편하게 앉는 것은 필수사항 입니다. 나는 뒤쪽으로 조금 깊숙히 앉고, 팔뚝을 라이저에 기대며, 최대한 편하게 양다리를 붙입니다.. 때때로 풋바에 발을 얹어 놓기도 합니다. 크로스벨트는 반비행장치로서 나는 사용을 추천하지 않는데 열비행에 있어 조종사의 느낌을 감쇠 시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조종사에게는 좋은 안전장치 일수도 있습니다.

2.상상,
열비행은 숨어있는 열을 추측하는 상상력과 함께 많은 것을 하게 합니다. 그들은 통상 지면의 특정지역 위에서 열을 발견하는데 비탈의 경향으로 태양에 의해 데워지거나, 숲 주위의 불모지, 혹은 그림자 부분등 입니다. 새는 이러한 상승의 좋은 신호기와 같은데, 마른 나뭇잎이나 종이조각 및 어떤 명백한 이유없이 나르는 것도 포함 됩니다.

우리 주위에 써멀이 가능한 지역이 있다면 그곳을 향해 날아가야 합니다. 만약 상승을 느낀다면 우리는 써멀의 영향력 안에 있는 것이며 기체의 움직임이 느껴지면 적정한 브레이크의 당김으로 난기류의 영향을 무디게 해야 할 것입니다. 이 시점에서, 당신은 통상 기체의 한쪽 끝이 반대쪽 보다 들리는 느낌을 가질 겁니다. 나는 이때 몇 초간 반대쪽으로 약간의 회전을 하고, 그리고 들리는 쪽으로 다시 몸을 실은 다음 써멀의 중심이나 상승의 중심이라고 생각되는 곳에 가깝게 360 도 회전을 합니다.

때때로 몇 번의 회전으로 써멀의 핵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보통 몇 번의 수정된 회전 후에 정확한 중심을 찾게 됩니다. 이것이 우리에게 인내가 중요한 이유 입니다. 만약 핵을 놓쳤다면, 이 시도를 반복해야 하는데, 크게 회전한 후 다시 핵을 향해 접근해야 합니다.

3.좋은 회전,
좋은 회전의 수행은, 첫번째로 당신의 눈으로 코스를 예상하는 것에 있습니다. 그리고 당신이 회전 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당신의 몸을 충분히 실어야 합니다. 다리를 포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통상 안쪽의 브레이크를 당기고 늦추며 회전을 하는데 바깥쪽도 부차적 압력의 손실을 막기 위해 같이 사용 합니다. 당신은 기체의 안쪽 압력변화 보정을 위해 바깥쪽 브레이크가 항상 어떻게 완충역할을 해야 하는지 그 방법을 쉽게 알아챌 수 있습니다. 당신은 무의식적이며 자동적인 이 행동을 연습해야 합니다.

써멀기둥이 극히 작고 난기류 상황이 아니라면 기체를 30 도 이상 기울일 필요는 없습니다. 가장 이상적인 것은 써멀의 크기와 강도에 따라 우리의 기체가 진입하는 데에 있어 가장 조화로운 각도를 찾는 것 입니다. (젠장 번역하고 보니 열 받네. 누가 모르나 가장 조화로운 것을 어떻게 찾느냐를 얘기해 주어야지….)

4.난기류,
통상, 당신의 상승이 강할수록 많은 난기류를 경험하게 됩니다. 그리고 우리가 더 좋은 상승률을 끊임없이 원하므로 기체의 흔들림을 접하게 되고 어떤 난기류에서도 적당하고도 지속적으로 보정하는 방법을 배워야 합니다. 써멀이나 그 영향지역 주위에서, 공기는 움직임을 가지며 브레이크에 힘을 가하기 위해 당겨졌던 손은 실질적으로 되돌아갈 것입니다 - 때로는 강하기도 하여 기체접힘이 있기도 합니다. 그때 해당 방향의 브레이크를 사용하여 회복을 인식할 때까지 기체가 확장되도록 압력의 변화를 보정하는 기술을 필요로 합니다. -.

때로는 많은 브레이크 당김을 필요로 하기도 하는데 심지어 기체 안쪽의 압력을 손실할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변화 많은 써멀을 타고 여행하는 동안 우리는 빈틈없이 반사적인 행동으로서 몸과 브레이크를 조작하여 대처하는 방법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5.강함, 그러나 부드러운 조작,
우리가 브레이크를 강하게 당겨야 할 특별한 순간이 있습니다. 그러나 우수한 조종사의 특징은 그런 상황에도 부드럽고도 점차적인 핸들링으로 대처 합니다. 당신은 기체가 몸의 연장 부분인 것처럼 느끼는 조종사가 되어야 하는데, 최소한의 응답으로도 당신이 반응할 수 있고 기체와 상호작용을 하는 느낌을 가지도록 부드러운 조종을 해야 합니다.

6.회전에서의 바람,
바람에 의해 발생되는 일탈 중 고려해야 할 다른 하나는, 약한 풍속임에도 기류가 열의 모양에 영향을 준다는 것입니다. 그것은 일정하지 않아 때론 강한 써멀이 바람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수직 상승을 하기도 하는데 그러나 일반적으로 바람의 방향을 따라 진행 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이런 써멀의 경향을 고려하고 써멀 내에서 머무르며 핵을 놓치지 말아야 합니다.

7.몇가지 추천사항들

1)가능한 몸을 많이 쓰라. 조종줄 교정을 줄여준다.
2)만약 현재의 열이 작고 상승이 없더라도 포기하지 말고 충분히 공략을 하면 새로운 강한 써멀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3)항상 빠른 비행을 위한 방책이란 기민하게 대처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들도록 속도를 줄이는 것이다.
4)쉽게 열비행을 시작하기 위해 난기류를 잘 극복하는 안전한 글라이더를 선택하라.
5)지표와 써멀지역을 잘 관찰하되, 산사면에 너무 가까이 붙음은 좋지않다.
6)거칠지 않은 (잘 알려진 써멀지역이 아닌) 부드러운 써멀을 찾을 수 있는 곳에서 시작하라. 더운 날의 가장 강한 써멀 발생시간대의 정보수집과 현지팀의 안내를 들을 것.
7)하루 중 써멀이 매끄러운 시간대인 12:30 이전과 4시 이후에 비행을 하여 좋은 조종력을 연마하면 점차로 나는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