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oh 취미/이론

써멀 컷인 라이드(Thermal Cut in Ride)

air fly 500 2008. 1. 11. 11:40
서멀. 센터링에서는 최초의 선회로 완전히 서멀의 리프트에 올라타기는 어려움으로 반드시 수정비행이 필요하다는 경험에서 우러난 고도의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상당히 공격적(적극적)이며 위험부담도 커서 숙련된 조종자에 맞는 방법입니다.

(1) 최초의 선회로 상승기류에 들어가면  일단 선회를 늦추고(loose) 보다 강한 리프트가 예측되는 서멀. 코아로 직선적으로 진입(cut in)해서  코아에 히트하면 다시 선회를 당겨서(tight) 센타링을 유지합니다. 이 당김이 몇 초라도 �으면 크게 코아를 벗어나게 됩니다.

(2) 만일 센터링 도중에 하강기류에 들어가면 즉각 선회를 당겨서(tight) 급선회로 하강 기류를 탈출합니다. 이때 즉각 탈출을 하지 않으면 하강기류 속에서 그 선회를 완료하게 되어 파라 글라이더는 크게 고도를 잃게 됩니다.

3. 더블 컷인 라이드(Double Cut in Ride)<br>    앞서 말한 컷트인. 라이드를 더 발전시킨 기술입니다.

(1) 상승기류에 들어가면 선회를 늦추고 더 강한 리프트가 있는 서멀 코아로 컷트인합니다. 운 좋게  서멀 코아로 들어가면 선회를 당겨서(tight) 일정한 속도와 뱅크각을 가지고 센터링을 유지합니다.

(2) 파라 글라이더가 리프트 속에 들어있지만 서멀 코아를 제대로 잡지 못한 선회라고 판단되면 90도 선회 후 선회를 늦추고 적선에 가까운 비행을 수 초 동안 합니다. 그후 보다 강한 상승 기류를 만나면  선회를 당기고(tight) 일정한 속도와 뱅크 각을 가진 센터링으로 들어갑니다.

(3) 전개한  (2)에서의  두 번째 센터링도  상승기류를 충분히 잡지 못했다고 판단되면270도 선회 후 다시 선회를 늦추고(loose) 직선에 가까운 비행을 수 초 동안해서 서멀 코아에 히트하는 것을 기다립니다.

*  이 더블. 캇트인. 라이드의  기술은 가장 공격적인  서멀. 센터링 기술로서 보다  가장 상승기류가 상한 서멀 코아를 히트하고 싶은 조종자가 경기시합에서 사용합니다. 그러나 그 반면에 선회의 당김과 늦춤의 몇 초간의 지체나 판단력의 착오로 크게 서멀을 벗어 나버리는 위험부담이 큰 기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