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oh 취미/gps

트렉(궤적) 활용법

air fly 500 2008. 1. 11. 10:28

궤적(트랙, Track) 을 활용하자
궤적(Track)이란 GPS를 켜놓고 수신을 하면서 이동한 흔적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일정간격으로 물방울을 떨어뜨리며 이동하는 것 처럼 내가 지나온 각종 정보가 기록됩니다.
궤적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기록됩니다
- 정확한 시각 ( 년,월,일,시,분,초)
- 좌표 : 126.12345 37.12345
- 고도 : 450m
- 순서 : 1,2,3,4,
대부분의 GPS는 궤적을 저장하는 기능이 있으며, 저장된 궤적을 PC나 PDA로 다운로드하여 자료를 분석하는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그러면 궤적을 이용하여 어떤일을 할 수있는지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1. 궤적기록방법
대부분의 GPS는 궤적을 저장할 수 있으며 , 그 저장간격을 조정할 수도 있습니다.Track Mode에서 일반적으로 Auto로 설정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으로 저장을 하며 필요에 따라 저장간격을 10m , 100m 등으로 설정하실 수도 있습니다.자동으로 지정했을 때 궤적의 양은 지형에따라 저장되는 양이 다르며, 16시간 산행을했을 때 500 포인트 정도.저장이 되는것으로 봐서 스포트랙의 경우2,000 포인트까지 저장이 가능하므로차량으로 서울,부산을 왕복해도 충분히 기록할 수 있을 것 입니다.궤적이 저장되면 Plot 화면
(Sportrak) 이나 지도화면(Sportrak Map)상에 지나온궤적이 표시가 됩니다
2. 궤적을 깨끗하게 저장하려면
궤적으로 깨끗하게 기록하려면 GPS가 최상으로 수신되도록 해야 하며, 스포트랙과 같은 헤릭스안테나를 사용하는 GPS는 수직으로 세웠을 때 수신이 잘되고 이트랙스 같은패치안테나를 사용하는 GPS는 수평으로 놓아야 수신이 잘 됩니다.그러므로 스포트랙GPS의경우는 수직으로 세워 베낭끈 같은곳에 레자케이스나 핸드폰케이스 같은곳에 넣어 거치하면 아주 수신이 잘 되나, 이트랙스 같은 제품은 수신이 불안합니다. 이트랙스나 네비우스GPS PDA 의 경우는 어깨쪽에 하늘을 바라보도록 거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저장된 궤적을 다운로드 하려면
트래킹을 마친 후 저장된 궤적을 PC에서 다운로드 하여 여러가지 방법으로 분석을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를 하려면 우선 연결 케이블을 이용해서 자료를 다운로드 받아야 합니다.연결 코넥터를 좌측그림처럼 접속하여 여러가지소프트웨어에서 자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한가지 주의할 점은 궤적이나 저장된 지점을 PC로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 할 때는 반드시 GPS설정을 다음과 같이 하셔야 합니다
MENU -> Setup -> NMEA -> OFF
NMEA 가 OFF로 되어 있어야만 데이터통신이 가능합니다. 만약 V2.1 GSA 로 설정하셨다면 통신이 되지 않으며 이 경우는 이지가이더나 알맵등과연동하여 네비게이션으로 활용할 때 필요한 설정입니다
4.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들.
GPS로부터 데이터를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다음과 같은 소프트웨어를 추천합니다
- G7toWin : http://www.g7towin.com
Magellan , Garmin 지원. 간단하며 대부분의 GPS를 지원하고 이기종간 데이터교환에 좋습니다.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여 저장할 때 plt 파일로 저장하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Plt file 은 Oziexplorer의 궤적화일로 대부분의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Oziexplorer : http://www.oziexplorer.com/
Magellan, Garmin 지원. 막강하며 가장 사용자가 많은 Mapping Program
특징 : 10초 단위로 격자를 작성할 수 있으며 맵매칭한 지도를 1:25,000 ,
1:10,000등 원하는 축척으로 출력가능. 무료버젼은 기능상의 제한이 있으나 무난하게사용 가능.
-CompegGPS : http://www.compegps.com
Magellan, Garmin 지원.
특징 : 궤적을 다운하여 바로 위성사진을 배경으로 사용가능. 3차원 Viewer30일간 사용가능 . 정품가격 100불정도
- GPS TrackMaker : http://www.gpstm.com/
Magellan, Garmin 지원. 맵매칭가능하며무료 사용가능 . 정품은 TrackMaker PRO 라는 이름으로 판매.
프로그램마다 약간씩 설정방법이 다르나, GPS는 Magellan, Garmin 등으로 자신이 가지고 있는 GPS로 설정하고 통신 속도(Baudrate) 는 4800bps 가 표준입니다.
5. 고도 변화를 보자
Track 자료를 이용하여 가장 먼저 할 수 있는 것이 트래킹한 궤적의 고도변화표 입니다. 고도 변화표는 Oziexplorer , GPS TrackMaker , CompeGPS등의 프로그램에서 지원하고 있으나 개인적으로 GPS TrackMaker PRO(정품)이 가장 상세한 데이터를 제공해 주고 있습니다.
위 그림은 백마산,정광산,태화산 산행 후 기록된 궤적을 고도대: 거리 그래프로 분석한자료입니다. 이 자료는 GPS TrackMaker Pro 에서 분석을 한 자료이며 다음과 같은자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고도의 변화 (시간 : 거리 그래프)
- 총 이동거리
- 총 소요시간
- 최저고도 , 최고고도
- 총 오르막 거리 , 총 내리막 거리
- 평균 오르막 속도 , 평균내리막속도
이런 자료가 다른사람들에게 제공된다면 다음사람은 산행을 하기전에 어느정도 고도의변호가 있는지, 시간은 얼마나 잡아야 할지, 점심은 어디서 먹을지등 산행계획에 많은도움이 될 것 입니다
이 소프트웨어 외 다른 소프트웨어에서도 비슷한 방식으로 거리대 고도, 시간대 고도등의 그리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6. 이동 궤적을 보자
트래킹후 내가 지나온 길이 어디를 거쳐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확인하는것도 중요한과정입니다. 원래 계획했던것과 전혀 다른방향으로 내려올 수도 있으며 그렇다면 어디서 실수를 했는지를 분석할 수있습니다
- 위성화면상에 궤적보기
위 그림은 Compe GPS 프로그램에서 궤적을 다운로드 하여
Menud 에서 Maps -> Download Internet Map for This Area -> NIME Ortho Maps
10m/Pixel 을 눌러 그지역의 (궤적이 있는 지역) 위성사진을 다운로드 받습니다.그러면 잠시 후 위성사진을 다운로드하여 원하는 이름으로 저장을 하고 위 사진처럼 그지역의 위성사진이 나타납니다.이 기능을 활용하면 어렵게 맵매칭을 하지않고도 산행한 지역의 지형도를 빨리 볼 수있습니다. 10m 를 점하나 (Pixel) 로 표시하기 때문에 상세한 지형도라고 볼 수는 없으나 대략적인 이동경로를 볼 수 있습니다. 위 사진의 좌측은 팔당대고이고 예봉산을 거처 수종사가 있는 운길산까지의 귀적이고 운길산으로 내려온 부분에 양수리의 다리가 보입니다. 중간에 약수터로 물을 뜨러 내려갔다 올라온 궤적도 보입니다.Compe GPS의 특징중 하나가 3차원으로 영상을 볼 수 있다는것인데, 바로 3차원영상을 보면 등고선이 입력되지 않아 대략적인 지형의 변화만 보입니다.
위 사진은 등고선을 입력하지 않고 그대로 본 3차원 지형도이며 산의 고도가 실제 이동경로와 다르게 나타남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어렵지만 등고선을 일일이 입력하고 나면 아래 그림처럼 3차원상에 정확한 궤적이 나타납니다.
전 페이지에 있는 그림은 Compe GPS에서 3차원등고선작업을 한 과천 청계산을 전에산행한 궤적과 함께 본 것을 표현한 것 입니다.이렇게 작업을 하고 궤적을 보면 보다 생생하게 이동경로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다른사람들에게 제공했을 때 보다 완벽한 자료로 제공될 수있는 것 입니다.Oziexploer 나 GPS TrackMaker등에서 궤적을 다운받아 보면 3차원으로 보이지는 않지만 지도를 맵매칭하여 지형도상에 궤적을 (평면으로) 볼 수 있습니다.

맵 매칭에 관힌 내용은 다른 강좌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3차원 지형도는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른 형태로 나타나므로 어느방향에서 보는가에 따라 같은 궤적이라도 전혀 다른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위 그림은 청계산 산행 궤적을 성남방향에서 본 것 입니다.망경대부근에서 대공원쪽으로 내려갔다 다시올라온 궤적은 망경대에 가려 보이지 않는군요. Compe GPS는 등산을 하는사람들 보다는 페러그라이딩등 항공레져를 즐기는분들에게 더 많이 알려져 있으며, 궤적자료를 가지고 3차원지형도상에 뿌려놓고 어떤경로를 이동을 했는지 채점을 하는데 활용하기도 합니다.
위 그림은 궤적을 평면 지형도에 그려본 모습니다.
이 그림은 실제 산행을 하기전에 매칭된 지도상에 미리 가고자 하는 경로를 궤적으로그려 GPS에 업로드 하여 궤적을 보고 산행을 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작성한 것이며 초음가는 산행길이나 야간산행시 아주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7. 궤적을 만들어 GPS에 올려서 산행을 하면
위 그림처럼 마우스를 이용해서 미리 PC상에서 궤적을 만들어 이 궤적을 GPS로 업로드하여 산에 갈 경우 이동을 하면 미리 만들어 놓은 궤적위로 새로운 궤적이 그려지면서 계획했던 이동경로대로 진행을 하고 있는중인지를 알 수 있습니다.
야간산행의 경우 갑자기 넓은 바위가 나타나거나 넓은 공터가 나오거나 여러갈래길을만나면 방향을 잃기 쉽습니다. 이 때 미리 만들어놓은 궤적을 이용하여 나침반의 북쪽과 GPS의북쪽을 일치시키면 궤적이 나 있는 방향으로 이동을 하도록 안내를 하므로 길
을 잃지 않습니다.설사 길을 잘못들은 경우 바로 미리 입력해 놓은 궤적에서 벗어나는것을확인 할 수 있으므로 되돌아와서 올바른길로 가거나 원래 설정되어 있던 궤적방향으로 이동하여 길을 잡을 수 있습니다
8. 디지털 카메라로 찍은 사진과 궤적의 연동
디지털 카메라로 사진을 찍고 PC로 다운로드를 하면 사진상의 Meta Data 에는 사진을 찍은시간정보가 기록되어 있습니다.그리고 GPS로 저장한 궤적에도 저장된 지점마다 시간과 고도,좌표값등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이 디지털 사진의 시간을 읽어 궤적상에 들어가있는 시간과 일치 (실제로는 가장 가까운시간을 찾아 일치) 시키고 그때 기록된 좌표값과 고도,시간정보를 사진에 넣으면 아래그림과 같이 사진상에 정보가 나타납니다.
위 사진으로 보면 이 사진은 운길산 정상(해발 610m )_에서 2003년12월28일 오후3시54분에 찍은것이며 운길산 정상 좌표는 북위 37도34분21초 동경 127도17분39초임을알 수 있습니다. 멀리 까마득하게 보이는봉우리는 예봉산입니다.(팔당 예봉산)이 기능을 활용하면 아주 쉬운면서 실감나게 산행기를 작성할 수 있으며, 식물채집을하는등 학술분야에서도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런 기능을 할 수 있게 해 주는 소프트웨어가 바로 Ozi Photo 라는 소프트웨어인데이 프로그램은 인터넷에서 무료로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습니다.GPS와 디지털카메라만 있으면 누구나 쉽게 위와 같은 사진을 찍을 수 있습니다.Ozi-Photo 에 관한 사용설명은 저희 홈페이지(Mygps.co.kr) 강좌에 이미 올라가 있습니다.
이렇듯 GPS의 궤적은 그 쓰임새가 많기 때문에 산행 후 꼭 다운로드 하여 다른사람이활용할 수 있도록 저희 홈페이지에 올려 주시거나 다른 동호회 홈페이지에 올려 주시면여러 사람들에게 아주 유용하게 쓰일 수있습니다.만약, GPS를 가진 사람 10명이 날을 잡아 특정산을 각각 다른 코스로 올라 정상에서만나 궤적을 다운받아 놓으면 하루만에 10개의 등산로를 실측한 자료가 생성될 수 있으며 이 자료를 지도상에 표시하면 아주 정확한 등산지도를 제작할 수있는 것 입니다.비슷한 방법으로 10명이 한북정맥의 구간을 나눠서 산행을 한 후 자료를 모으면 하루만에 한북정맥 전체 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방법이 되기도 합니다.이런 자료가 있으면 각각 다른사람이 다녀온 궤적을 GPS에 넣어 나머지 9구간을 혼자서 종주할 수도 있는 방법이기도 합니다.필자의 경우 최근에는 산행을 하면서 주요지점의 좌표값을 저장하는 대신 사진을 찍어 사진과 함께 지점자료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산행도중 GPS를 꺼내 좌표를 입력하고 이름을 써넣는 번거로움대신 간단하게 사진만 한장 �칵 찍어놓고 내려와서 궤적데이터와 동기를 시
키면 사진에 좌표값,고도,시간이 기록되므로 아주 편리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