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oh 취미/이론

[스크랩] 실속

air fly 500 2006. 2. 17. 11:55
결론부터 말하자면 실속이란 날개가 날개의 기능을 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즉 날개를 갖고 날고자 하던 비행체는 날개

가 날개의 기능을 못하게 되므로 추락하게 되는 것입니다. "추락

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 했으니...

정상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면 추락하는 일은 없겠지만 비정상적으

로 날개가 작용하고 있다면... 그건 추락을 의미합니다.

그럼.. 왜, 정상적이던 날개가 비정상적인 상태가 되어 실속이

란 게 생길까요?

실속은.. 날개의 받음각이 너무 클 때 항력이 과대하게 증가하

고 또한 날개 상단의 공기흐름이 매끄럽지 못하여 날개가 대기속

도를 잃었을 때 발생합니다.

--- 어렵다고요? -- 그럼... 조금 더 쉽게 설명하자면...

비행기가 이륙시 더 빨리 상승하고자 날개 뒷부분(플랩)을 내릴

때, 착륙하고자 할 때 천천히 활주로로 진입하기 위하여 속도

를 줄이고자 날개 뒷부분(플랩)을 내리게 되는데... 이때 속도

가 너무 느릴 때 이러한 조작을 과하게 하면 실속이 생깁니다.

그렇게 되면 비행체는 그야말로 고철덩어리가 되어 추락하게 되

는 거지요. 양력이 없으니까요...
 
패러글라이더의 실속도 마찬가지입니다. 비행자가 브레이크 라인

을 너무 많이.., 오래 잡고 있으면.. 기체의 대기속도가 늦어지

고 항력이 증가하여 기체는 실속 상태에 빠집니다.

또한 패러글라이더는 다른 항공기와 달리 여러가지의 실속이 있

는데......  

1. 브레이크 실속 - 브레이크를 100%이상 계속 사용할 때 발생.  
2. 앞전 실속(A스톨) - 앞전이 아래로 뭉개지며 발생.  

3. B스톨 - B라이쟈를 잡아 당길 때 발생, 주로 고도처리용으로

사용.
 
4. C스톨 - C라이쟈를 잡아 당길 때 발생, 주로 고도처리용으로

사용.
 
5. 다이나믹 실속 - 모든 실속다음에 기체가 제 속도를 갖기 위

해 발생.
 
6. 오메가 실속 - 기체가 말발굽 모양으로 앞으로 휘어지며 발

생.
 
7. 네가티브 실속 - 기체의 한쪽만이 실속에 들어 갔을 때, 반대

편 정상적인 기체 쪽이 스핀되면서 발생, 회복 후 다이나

믹 실속으로 주로 연결 등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패러글라이더는 다른 항공기와 달리 비행자가 인위적으로 라이쟈

를 조작하여 날개를 변형시켜 실속을 유발시킬 수 있습니다.

다른 항공기는 실속시에도 날개의 모양을 그대로 유지 하지

만... 패러글라이더는 실속이 발생되면 공중에서 날개가 찌그러

지고... 오그라들고... 그러지요... 하지만 곧 회복된답니다.

실속시에는 날개가 제 역할을 못하게 되므로 미리 실속을 예방하

는 비행을 하여야 하며, 사전에 이러한 실속을 미리 실습, 경험

하여 응급시 당황하지 않고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합니

다.

출처 : 비공개
글쓴이 : 익명회원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