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oh 취미/이론

[스크랩] 상승 (비행)

air fly 500 2006. 2. 17. 11:54
일단 글라이더가 공중에 뜨게 되면 굉장히 편안함을 느끼게 될

것이다.초급 비행에 있어서는 특별한 조종을 해서는 안되며 지

상착륙 유도자의 지시에 따라 활공을 하는 것이 좋다.

우선 몸의 긴장을 풀고 날개에 의지한 채 전방을 주시 하면서 정

상 및 직선 비행이 되도록 몸을 글라이더에 맡기면 된다. 캐노피

만 쳐다 본다든가 또는 발 밑의 땅만 쳐다본다든가 하면 좋은 비

행을 할 수 없다. 정상적으로 이륙하여 특별한 조종없이 그대로

잇으면 글라이더는 정상적인 직선 비행을 하게된다.

⑴방향전환


공중비행중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방향을 전환 하고자 할 때는 비

행하고자 하는 쪽의 브레이크 라인을 부드럽게 50% 조종(가슴부

분까지 당긴다)을 하면 글라이더 및 몸의 방향이 전환 될것이다.


1)
좌측으로 방향을 전환하고자 할때



좌측 조종줄을 천천히 그리고 부드럽게 가슴까지 당긴다. 이때

좌측 조종줄을 당겼다가 바로 풀어주면 글라이더는 다시 원상태

가 되므로 자신과 글라이더가 완전히 방향전환이 되었을 때까지

잡고 있어야 한다.






2)
우측으로 방향을 전환하고자 할 때



우측 조종줄을 천천히 그리고 부드럽게 가슴까지 당기고 있는

다. 그리고 방향이 완전히 전환 되었으면 다시 조종줄을 풀어준

다.



조종시 주의 사항



-
조종줄을 급작스럽게 조종하지 마라.



-
좌우 방향 조종시 조종줄을 너무 과다하게 당기지 마라.



-
좌우 방향 조종시 글라이더가 원하는 방향까지 돌아갈 때까지

당기고 있어야 한다


⑵ 360°선회


선회 하고자 하는 방향쪽의 조종줄을 약 25~50% 정도 당기고 있

으면 글라이더는 360°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반대쪽의 조종줄

도 약간만 당겨주고 있으면 더욱 좋다.

왜냐하면 선회시 당기지 않는 쪽의 캐노피의 접히는 현상을 막을

수가 있기 때문이다. 선회 하고자 하는쪽의 조종줄을 얼마를 당

기느냐에 따라 선회 반경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조종줄을 너무

많이 당기고 선회하게되면 선회 속도가 빠르고 선회 반경도 좁

아진다.

초급자 및 선회에 익숙하지 않은 파일럿트는 선회시 급조작이나

너무 많이 조종줄을 당기지 않는 것이 좋다.

(3) 게거름 비행


바람이 옆에서 불 때 아래 그림처럼 글라이더를 목표 지점쪽으

로 향해 놓으면 실제 비행경로는 바람 아래쪽으로 밀려가게 된

다. 이 처럼 측풍시 목표지점으로 비행하고자 할 때는 측장 방향

쪽으로 글라이더를 돌려 놓고 비행을 하게 되면 목표지점에 정확

히 날아갈수 있는 방법이다. 이 비행술은 마치 바다게가 옆으로

걷는 것처럼 옆으로 날아간다하여 게거름 비행이라 한다.


(a)무풍일 때

(b)측풍에서 정면을 보고 날아가면

(c)크래빙




(4) 비행중 캐노피(글라이더) 한쪽이 접혔을 때 회복하는방법


비행중 돌풍이나 난류를 만났을 때 한쪽 날개가 휙하고 접히는

현상을 자주 만나게 되는데 이럴 때는 절대 당황하지 말라. 한

쪽이 어느정도 접힌다고 해서 글라이더는 추락하지 않는다. 글

라이더는 원상태로 회복할 수 있다. 회복하는 방법은 아래화 같

다.


1)
접히지 않는 쪽의 조종줄을 필요한 만큼(어깨에서 가슴정도)당

기고 접힌쪽의 조종줄을 아래 위로 툭툭쳐주면(펌핑 pumping)

수초내에 원상회복이 된다.이때 접히지 않는쪽의 조종줄을 약

간 당기고 있는 것은 한쪼이 접혀서 좌우 불균형으로 접힌쪽으

로 회전하려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5) 비행중 캐노피(글라이더) 양쪽이 모두 접혔을 때 회복하는

방법


양쪽 조종줄을 아래 위로 툭툭털어 준다.

출처 : 비공개
글쓴이 : 익명회원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