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oh 취미/이론
[스크랩] 고공연습과 회전
air fly 500
2006. 2. 17. 11:51
고공연습과 회전 ━━━━━━━━━━━━━━━━━━━━━━━━━━━━━━━━━━━━■
고공 비행은 고도가 높기 때문에 계속 직선 비행만 하다보면 착륙장을 지나 엉뚱한 곳으로 날아가게 되므로회전을하여 비행 경로를 돌리고 고도를 낮추어 줄 필요가 있다. 고공에서의 회전은 저고도에서의 방향수정 보다 Control양이 조금 더 크고 조금 더 오래 지속되는 차이가 있다. Control은 부드럽게 당기고 원하는 만큼의 결과를 얻은 뒤 다시 부드럽게 풀어 주는 동작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회전에는 90도, 180도, 360도 회전이 있다. 회전 조작시는 가고자 하는 방향의 조종줄을 50%정도(옆구리까지) 당기고 반대쪽은 살짝 올려주면 된다. 그 보다 작게 당기면 회전효과가 작고 더디게 나타나 회전이 잘 되지 않고, 그 이상 많이 당기면 너무 급하고 빠른 회전이 일어나 방향을 회복하지 못 할수도 있다. 이러한 회전 연습은 지상의 특정 목표물 정해 놓고, 그 목표물을 중심으로 연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회전에서 중요한 점은 원하는 각도 많큼 충분 한 회전을 하는 것이다. 이것은 Control양과 Control을 지속하는 시간에 따라 좌우된다. 글라이더가 회전을 하게 되면 이륙때의 캐노피가 관성을 가지는 것처럼 회전역시 회전하는 관성력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Control을 지속하는 시간을 잘 조절해야 한다. 초급기, 저속기 일수록 관성이 크게 작용한다. 그 일반적으로 초. 중급기종들은 약 1-2초 정도의 시간동안 관성의 작용을 받는다고 볼 수 있다. 회전을 하면 속도가 증가하고, 고도침하가 커지게 된다. 회전을 함에 따라 원심력이 하중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비행속도 도 빨라지고 고도침하율도 커지게 되는 것이다. 평상시 직선 비행때보다 회전 비행시 실속속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평소보다 쉽게 실속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실속을 방지하기위해 회전에 들어가기 전에 증속해주고 회전이 끝난 후 다시 증속해 주는 것을 습관화시켜야 한다. 연속되는 회전조작이나 장 시간 동안의 회전을 금해야 한다. 바람이 불때에는 정풍을 받아 풍상(風上) 방향으로 날아가면서 좌, 우 회전을 하고, 그 다음배풍을 받아 풍하(風下)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좌,우 회전연습, 그리고 측풍을 받고 날아가면서 좌,우 회전연습을하여 각각의 풍향에 대한 조종감각의 차이를 확실히 느껴야한다.
고공 비행은 고도가 높기 때문에 계속 직선 비행만 하다보면 착륙장을 지나 엉뚱한 곳으로 날아가게 되므로회전을하여 비행 경로를 돌리고 고도를 낮추어 줄 필요가 있다. 고공에서의 회전은 저고도에서의 방향수정 보다 Control양이 조금 더 크고 조금 더 오래 지속되는 차이가 있다. Control은 부드럽게 당기고 원하는 만큼의 결과를 얻은 뒤 다시 부드럽게 풀어 주는 동작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회전에는 90도, 180도, 360도 회전이 있다. 회전 조작시는 가고자 하는 방향의 조종줄을 50%정도(옆구리까지) 당기고 반대쪽은 살짝 올려주면 된다. 그 보다 작게 당기면 회전효과가 작고 더디게 나타나 회전이 잘 되지 않고, 그 이상 많이 당기면 너무 급하고 빠른 회전이 일어나 방향을 회복하지 못 할수도 있다. 이러한 회전 연습은 지상의 특정 목표물 정해 놓고, 그 목표물을 중심으로 연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회전에서 중요한 점은 원하는 각도 많큼 충분 한 회전을 하는 것이다. 이것은 Control양과 Control을 지속하는 시간에 따라 좌우된다. 글라이더가 회전을 하게 되면 이륙때의 캐노피가 관성을 가지는 것처럼 회전역시 회전하는 관성력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Control을 지속하는 시간을 잘 조절해야 한다. 초급기, 저속기 일수록 관성이 크게 작용한다. 그 일반적으로 초. 중급기종들은 약 1-2초 정도의 시간동안 관성의 작용을 받는다고 볼 수 있다. 회전을 하면 속도가 증가하고, 고도침하가 커지게 된다. 회전을 함에 따라 원심력이 하중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비행속도 도 빨라지고 고도침하율도 커지게 되는 것이다. 평상시 직선 비행때보다 회전 비행시 실속속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평소보다 쉽게 실속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실속을 방지하기위해 회전에 들어가기 전에 증속해주고 회전이 끝난 후 다시 증속해 주는 것을 습관화시켜야 한다. 연속되는 회전조작이나 장 시간 동안의 회전을 금해야 한다. 바람이 불때에는 정풍을 받아 풍상(風上) 방향으로 날아가면서 좌, 우 회전을 하고, 그 다음배풍을 받아 풍하(風下)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좌,우 회전연습, 그리고 측풍을 받고 날아가면서 좌,우 회전연습을하여 각각의 풍향에 대한 조종감각의 차이를 확실히 느껴야한다.
출처 : 비공개
글쓴이 : 익명회원 원글보기
메모 :